산업 산업일반

기업 80% "IMF때 만큼 어렵다"

투자·채용계획 변경등은 유보적 입장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가 실물경제로 확산되면서 국내 기업 10곳 가운데 8곳이 외환위기 시절 이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대한상공회의소가 국내 기업 300여개사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전체의 78.9%가 “현재의 경영여건이 외환위기 당시와 비슷하거나 더 어렵다”고 대답했다. 이 가운데 42.5%는 “외환위기 때와 비슷하다”고 밝혔고 36.4%는 “더 어렵다”고 응답했다. 경영여건이 외환위기 때보다 나아졌다는 응답은 21.1%에 불과했다. 규모별로는 대기업(58.8%)보다는 중소기업(85.5%)이 상대적으로 더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문별로는 내수 부문(81.2%)이 수출 부문(69.2%)보다 더 어려웠다. 기업들은 부정적 경제여건의 이유로 내수침체 등 경기침체 지속(54.2%)을 가장 많이 지적했다. 유동성 악화 등 자금조달 애로(20.4%), 영업이익 감소 등 실적악화(19.4%)가 뒤를 이었다. 이 같은 상황 속에서도 기업들은 투자와 채용계획 변경에 대해서는 유보적 입장을 보였다. 아직까지 투자계획을 바꾸지 않았다는 응답이 63.9%, 채용계획을 바꾸지 않았다는 응답은 81%로 집계됐다. 투자를 축소했거나 축소를 검토하는 기업은 27.8%였으며 오히려 확대 또는 확대를 검토하겠다는 기업도 7.5%였다. 최근 환율 급등에 따른 기업들의 손실도 커지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응답 기업의 43.9%가 환율상승으로 손실을 입었다고 밝혔다. 특히 식품(59.1%), 석유화학(52.6%), 기계(52%) 업종은 손실 발생 기업이 전체의 절반을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손실을 입은 기업들은 매출액 대비 평균 11.1% 규모의 피해를 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수출호조 등 이익이 발생했다고 답한 기업은 14.8%에 불과했다. 상공회의소의 한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의 여파로 경기침체, 유동성 및 경영실적 악화 등 국내 기업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환율 및 금리 안정, 중소기업 유동성 지원, 금융규제 완화 등 금융시장 불안을 해소하기 위한 정부 대책의 조속한 시행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