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최하층 계층에 일자리등최대한 지원"

김문수 지사 기초노령연금 인상 '맞춤형 무한복지' 제안


정치권은 물론 사회적으로 복지논쟁이 불거지고 있는 가운데 김문수(사진) 경기도지사가 필요한 사람에게 도움을 주는 '맞춤형 무한복지'를 들고 나와 복지 논쟁에 가세했다. 김 지사는 17일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열린 제1차 복지경기포럼기조연설을 통해 자신이 구상한 맞춤형 무한복지에 대해 설명하고 기초노령연금 25만원 인상 등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내놓았다. 김 지사의 맞춤형 무한복지는 전 생애에 걸쳐서 필요한 때에 일자리ㆍ보육ㆍ생계ㆍ 노후ㆍ건강 위기를 해소하고 성(性)과 연령ㆍ장애ㆍ인종 차별 없이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복지로 요약된다. 정해진 법률과 제도에 따라 기계적으로 제공되는 복지가 아니라 일자리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일자리를, 의료비가 필요한 사람에게는 의료비를 제공하는 식으로 필요한 것을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김 지사는 이 같은 맞춤형 무한복지의 3대 목표로 ▦정의로운 사회 실현 ▦지속가능한 복지 ▦가족 친화적 복지를 제안했다. 모든 사람에게 똑같이 배분하는 것이 아니라 경제적으로 최하층에 있는 사람들에게 최대한의 복지혜택이 돌아가도록 해 정의로운 사회를 만들겠다는 것이다. 또 복지 재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제공을 최우선으로 하는 복지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가족 친화적 복지는 가족 안정이 사회와 국가 안정의 기본이란 점에서 가족 내에서 이뤄지는 돌봄, 양육, 교육 등을 국가 책임 하에 가족형태에 맞게 맞춤형으로 제공하겠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김 지사는 3대 목표를 실행하는 방안으로 ▦현장중심 섬기는 복지 ▦수요자중심 통합복지 ▦성장과 함께하는 일자리 복지 ▦무한사랑의 나눔복지 ▦세계 속의 지구촌 복지 등 5가지 전략을 소개했다. 김 지사는 "폐휴지를 주워 하루하루를 연명하는 노인이 복지혜택을 받지 못하는 이유가 부양의무자라는 법적 조항 때문"이라며 "실제로는 아무 도움을 받지 못하고 있지만 자식이 있다는 이유로 기초수급 대상에서 제외된 노인들의 실태를 조속히 파악해 이들을 기초수급 대상자에 포함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그는 "정부가 기초노령연금 대상자를 현재 70%에서 80%로 확대 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급여수준을 최저생계비 수준까지 높이는 것이 더 시급하다"며 "현재 9만원 가량인 기초노령연금 수급액을 1인당 최저 생계비의 절반 수준인 25만원까지 인상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지사는 "정부에서 실시하고 있는 저소득층 대상의 자활사업 성공률은 현재 13.4%에 불과하다"며 "대상자의 능력에 맞지 않는 직업능력개발과 일자리 연계가 자활률을 낮추는 원인이 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김 지사는 현재 20%수준에 머물고 있는 국민의 자원봉사 참여율을 50%까지 끌어올릴 수 있도록 범국민적 운동을 벌여야 한다고 제안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