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부산에 설립될 한국해양과학기술원…되는 것도 없이‘논란만 잔뜩’

설립 주체인 해양대학교 겨냥해 부경대학교측 “특정대학만 참여하는 졸속”반발

부산을 해양ㆍ수산 연구 분야의 허브로 도약시키기 위한 핵심 키워드로 주목 받는‘한국해양과학기술원’(KIOST) 설립문제가 특정대학들의 이기주의로 또 다시 삐걱대고 있다. 한국해양대학을 중심으로 설립이 추진되자 이번에는 부경대학교측이“특정대학만 참여하는 졸속 계획”이라며 반발하고 나섰다. 이 때문에 대학, 단체 등에서 각자의 주장만 내세우는 바람에 KIOST 설립은 사분오열되고 있는 양상이다. 부경대 교수회를 비롯해 직원협의회, 총학생회, 총동창회는 최근 성명서를 내고 “KIOST 설립은 해양과학의 미래를 좌우할 중요한 국가정책인데도 해양과학을 주도적으로 교육ㆍ연구하는 대학 및 관련 학회들과 협의도 없이 추진되고 있다”며 “국토해양부의 KIOST 졸속 설립 계획은 즉각 폐기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KIOST는 부산 영도 혁신도시에 이전할 한국해양연구원(KORDI)과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 한국해양대학교를 합친 ‘해양판 카이스트’(KAIST). KIOST 설립을 통해 과학 불모지인 부산을 해양과 녹색기술의 중심지로 육성한다는 목적이다. 설립을 위해 지난 7월께 국회에서 KIOST 법안이 발의됐다. 그러나 통합대상이 되는 해당 기관들의 반발로 지난 8월 국토부와 교과부는 한국해양대의 교육기능과 KDRDI의 연구기능간 협력체제를 구축하는 방식으로 설립한다는 수정 계획을 내놓았다. 이를 위해 KIOST와 한국해양대 연구, 교수진은 상호 각 기관에 겸직 근무할 수 있도록 할 방침까지 세웠다. 국토부는 “대학과 연구기관을 통폐합하려던 기존 방안과 비교하면 각 기관의 고유 기능을 유지하면서 협력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 연구기관이 될 것”이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수정된 내용의 ‘KIOST 법안’은 국회에서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부경대 교수회 등은 “해운이 특성화된 특정대학만 참여하는 이번 설립 안은 해운이 마치 해양과학의 전부라는 잘못된 인식을 바탕으로 추진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또 “해양수산부가 폐지된 이후 해양과학 분야가 위축되고 있는 상황에서 교육과학기술부가 해양과학 교육분야를 국토부로 넘겨 KIOST를 설립하는 것은 해양과학 교육분야 육성을 포기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들은 “지역사회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하고 해양과학을 주도적으로 교육ㆍ연구하고 있는 대학들이 함께하는 합리적인 설립계획 안을 새롭게 수립할 것”을 국토부와 교과부에 촉구했다. 하지만 부경대의 반발이 KIOST 설립에 전혀 도움이 안 된다는 목소리도 많다. 관계 기관의 한 담당자는 “특정대학만 참여하는 것이 아니라 부산대, 부경대 등 타 대학과도 협력을 하도록 돼 있는데 부경대측에서 너무 과하게 생각하는 것 같다”며 “지역에서 각자의 주장만 내세우면 KIOST 설립은 방향을 잃고 헤매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부산이 명실상부한 해양수도로 도약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대학들, 각 기관 및 단체들이 KIOST 설립에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