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기부의 새 지평 연 '아산나눔재단'

정몽준 전 한나라당 대표를 비롯한 범현대가 오너들에 의해 출범하는 '아산나눔재단'은 규모도 규모지만 대규모 사재출연으로 설립된다는 점에서 국내 복지재단의 새 지평을 여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그동안 대기업들에 의해 대규모 재단들이 적지 않게 설립됐으나 대부분이 사회적 지탄을 받은 사건이 계기가 됐거나 외부 압력 등으로 마지못해 세워진 경우가 많았던 것이 사실이다. 이에 반해 이번 아산나눔재단은 현대가 오너들이 자발적으로 나눔의 실천에 나선 것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재단의 자금규모는 5,000억원에 이른다. 여기서 주목되는 것은 사재출연금이 2,240억원에 달한다는 점이다. 현대중공업의 최대주주인 정 의원이 2,000억원을 출연하고 정상영 KCC 명예회장, 정몽근 현대백화점 명예회장,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 정몽윤 현대해상화재보험 회장 등이 240억원을 출연하는 것으로 돼 있다. 재단 자금의 절반 정도가 사재출연으로 채워지는 셈이다. 그동안 대기업들이 설립한 재단들의 경우 설립자금이 대부분 기업자금이어서 오너들은 생색만 내고 부담은 기업에 떠넘긴다는 지적을 받아온 것이 사실이다. 아산나눔재단이 복지재단의 새로운 이정표라는 평가를 받고 있는 것은 기존 재단들의 이 같은 한계를 뛰어넘었기 때문이다. 현대그룹 창업주이자 한국기업사의 거목인 고 정주영 명예회장의 10주기를 맞아 그의 정신을 계승함으로써 청년의 창업정신을 고양하고 사회양극화 해소에 기여한다는 것이 재단 설립의 취지다. 대규모 사재출연에 의한 아산나눔재단의 출범은 앞으로 우리나라 재단설립 문화에 큰 변화를 가져오는 계기가 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양극화 완화를 위한 대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가진 자'의 '노블레스 오블리주'가 강조되는 상황임을 감안할 때 유사한 형태의 복지재단 설립이 뒤따를 것이라는 기대도 나오고 있다. 아산나눔재단 출범을 계기로 우리나라에서도 '통 큰 기부'를 통해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워런 버핏이나 빌 게이츠 같은 기업인들이 많이 나옴으로써 양극화 완화를 통해 공생의 풍토가 조성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