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위앤貨평가절상 해도 美무역적자 해소 도움안돼"

그린스펀 "물가자극 부작용 낳을수도" 지적

앨런 그린스펀 미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은 “중국이 위앤화를 평가절상하더라도 미국의 무역적자 해소에는 큰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미국 행정부와 의회가 중국의 불공정한 통화정책이 사상 최대에 달한 미 무역적자의 원인인 만큼 위앤화 평가절상을 통해 미국의 무역적자를 개선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이고 있는 것과는 상반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그린스펀 의장은 20일(현지시간) 뉴욕경제인클럽에서 “중국의 현행 통화시스템은 인플레이션 압력 등 많은 부작용을 낳고 있어 어느 순간 위앤화 가치가 재평가될 것으로 본다”며 “하지만 위앤화 평가 절상에도 불구하고 이로 인한 미국의 무역적자 개선 효과는 미미하며 오히려 미국의 물가를 자극하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 “이로 인해 수입가격이 뛸 경우 다른 국가들은 미국보다는 오히려 태국ㆍ말레이지아 등으로 수입선을 바꿀 것이다”며 “이는 미국이 중국에서 수입한 제품을 다른 국가에서 그대로 들여오기 때문에 무역수지 개선 효과는 거의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위앤화 가치가 올라가면 미국에 수입되는 중국 제품의 가격이 올라가기 때문에 결국 내수물가를 끌어올리는 부작용을 낳을 수 있다”며 부정적인 측면을 강조했다. 미국은 지난해 중국에 대해 단일국가로는 사상 최대인 1,620억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한 것을 포함해 모두 6,170억달러의 무역적자를 기록했다. 부시 행정부와 의회ㆍ산업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중국의 위앤화 평가절상이 시급하다며 중국 섬유제품에 대한 쿼터제 부활, 환율조작국가 경고, 위앤화 특사 지명 등을 통해 압박의 강도를 높이고 있다. 한편 그린스펀 의장은 “연방 기준금리가 중립적인 수준을 넘어섰다는 주장에 동의하지 않는다”고 밝혀 지속적이고 점진적인 금리인상이 이어질 것임을 내비쳤다.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