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한국전쟁때 집단학살된 민간인 유골...64년만에 고향 안치

한국전쟁 때 집단학살된 경남 진주지역 민간인 유골 163구가 64년 만에 고향으로 돌아가 안치된다.

한국전쟁 전후 진주 민간인 희생자유족회(회장 강병현)는 19일 창원시 마산합포구 경남대박물관 컨테이너에 임시 안치된 진주지역 민간인 유골들을 진주시 명석면 용산리 야산으로 옮겨 안치한다.


유족회는 이날 오전 경남대에서 고유제를 지내고 경남도청 앞으로 이동, 이들의 영혼을 달래는 노제를 지냈다. 이어 오후에 유골을 진주시 명석면 용산리 용산고개로 옮겨 컨테이너에 안치한다.

이 유골들은 1950년 7월 국군이 보도연맹원으로 몰아 집단학살한 진주시 진성면과 일반성면 일대 주민 163명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2004년 옛 마산시 진전면 여양리에서 발굴돼 경남대박물관 컨테이너에 임시 안치됐다.


2002년 태풍 ‘루사’로 산사태가 나면서 처음 발견된 유골들은 2004년 경남대박물관 이상길 교수팀이 본격적으로 발굴작업에 나서면서 세상에 알려졌다.

관련기사



그러나 집단학살 사건의 정확한 진상과 책임소재 규명, 위령사업과 배·보상문제 등을 해결하지 못한 채 10년간 컨테이너에 방치됐다.

유족회와 진주시가 수년간 유골 이전을 논의해오다가 이번에 진주시 명석면 야산 소유자와 협의 끝에 유골들을 고향에 안치할 수 있게 됐다.

유골이 안치되는 명석면 일대는 한국전쟁 당시 국군방첩대와 경찰에 의해 주민 수백 명이 희생돼 묻힌 곳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곳에서는 오는 24일부터 한국전쟁 당시 희생된 민간인들의 유해 발굴작업도 진행된다.

민족문제연구소, 49통일평화재단 등 시민단체로 구성된 ‘한국전쟁기 민간인 학살 유해발굴 공동조사단’이 지난 18일 공식출범을 선언한 이후 처음으로 이뤄지는 발굴사업이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