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증산규모에 유가 향방 달려

베네수엘라등 '대규모'에 반대… OPEC합의 실패땐 상승곡선

증산규모에 유가 향방 달려 베네수엘라등 '대규모'에 반대… OPEC합의 실패땐 상승곡선 국제유가가 고공행진을 거듭하고 있는 것은 세계원유수급의 핵심역할을 하고 있는 사우디아라비아에 대한 테러불안이 가장 큰 원인이다. 또 3일(현지시각) 레바논에서 열리는 세계수출국기구(OPEC)의 베이루트 회의에서 회원국들이 증산에 대한 기본 합의점은 찾아내겠지만 산유량 규모와 쿼터제 폐지 등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서는 마찰과 갈등을 빚을 것으로 보여 의견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도 유가상승을 부추기고 있다. 사우디 등 산유국에 대한 원유생산 안전이 확보되지 않고, 베이루트 회의에서 대규모 증산결정이 내려지지 않을 경우 국제유가는 다시 가파른 상승곡선을 그릴 것이라는 분석이 더 우세하다. ◇갈수록 높아지는 테러 프리미엄=사우디에 대한 테러는 시작에 불과하다. 앞으로 추가테러가능성이 점쳐지고 있다. 알카에다와 이라크 원리주의자 등 테러조직은 사우디에 대한 테러강도를 높여 불안감을 고조시키고 고유가 상태를 이어가 미국의 정치체제를 변화시키는 것을 꾀하고 있다. 미국과 영국이 연일 사우디내 자국민과 기술진을 철수시키고 있고, 스위스가 엔지니어 100여명을 송환하는 등 세계 각국이 사우디 엑소더스'를 서두르고 있는 것도 중동테러불안이 가중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원유전문가들은 사우디 원유생산은 서방기술진과 경영진에 크게 의존한다"며 "세계 최대 원유수출국인 사우디에서 원유생산안전이 확보되지 않는다면 유가상승은 불가피하다"고 우려했다. ◇베이루트 회의에서도 묘수 없을 듯=베이루트 회의에서 '대규모' 증산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기 힘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증산규모와 쿼터제폐지, 유가밴드 등을 둘러싸고 OPEC회원국들이 서로 입장이 다르기 때문이다. 사우디를 비롯해 인도네시아, 아랍에미리트연합 등은 회원국들이 200만~250만배럴을 증산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지만, 베네수엘라 등 일부 '매파' 국가들은 현재의 고유가는 OPEC의 공급부족 때문이 아니라 지정학적 불안감과 국제투기에서 비롯된 만큼 대규모 증산은 필요없다고 맞서고 있다. ◇원유 초과수요도 여전히 해결되지 않아=세계 원유의 33%를 공급하고 있는 OPEC은 이미 쿼터한도를 넘어 생산에 들어간 상태다. 더구나 세계2위의 원유보유국인 이라크는 전쟁으로 정유시설이 극도로 파괴돼 언제부터 정상적인 가동에 들어갈 지 알 수 없는 상태다. 세계적인 정유회사들이 공장건설과 시설교체 등 신규투자에 나서지 않는 것도 공급감소의 요인이다. 정유사들은 매년 20~30%의 시설투자에 나섰지만 올해는 뒷짐만 지고 있다. 엑슨모빌의 경우 지난해 생산설비와 탐사비용은 2002년의 104억달러보다 15%나 증가한 120억달러였지만 올해는 신규투자가 거의 없다. 세브론텍사코 등 미국의 대형 정유사들도 올해는 신규투자를 보류하거나 아예 중단했다. 뉴욕=서정명 특파원 vicsjm@sed.co.kr 입력시간 : 2004-06-02 18:21

관련기사



서정명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