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IAEA 2차 조사단 파견하기로

"일본 방사능 오염수 유출 긴급 대처해야"

방사능 오염수가 "완전히 차단됐다"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주장에 국내외로부터 비난과 의혹이 쏟아지는 가운데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올가을 후쿠시마 원전에 2차 현지조사단을 파견하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올림픽을 유치하는 과정에서 아베 총리가 국제사회에 내건 '오염수 제어' 공약을 수습하느라 부랴부랴 대책 강화에 나섰지만 도쿄전력이 총리의 발언을 전면 부인하고 원전에서는 또다시 역대 최고치의 방사성 물질이 검출되는 등 사태는 악화일로다.

IAEA는 9일(현지시간)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린 정례이사회에서 지난 4월에 이어 올가을 일본에 2차 조사단을 파견한다는 방침을 밝혔다. 아마노 유키야 IAEA 사무총장은 모두연설에서 최근 불거진 오염수 누출이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영향이 지속되고 있음을 상기시키고 있다"며 "이는 긴급히 대처해야 할 최우선 과제"라고 강조했다.


아베 총리는 7일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총회에서 원전 사고 여파에 대한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해 "오염수의 영향은 후쿠시마 제1원전 항만으로부터 0.3㎦ 범위에서 완전히 차단돼 있다"고 장담했다. 하지만 원전 운영업체인 도쿄전력조차 "바닷물이 어느 정도는 유출입되고 있다"고 시인하는 가운데 오염수가 완전히 통제되고 있다는 아베 총리의 근거 없는 주장은 국제사회는 물론 국내에서도 적잖은 후폭풍을 일으키고 있다. 도쿄전력은 원전 항만과 외부 바다 사이에 설치된 '펜스'가 물이나 오염물질의 이동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은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관련기사



사실상 국제공약이 돼버린 총리의 호언장담에 대해 국내외의 냉담한 시선이 쏟아지면서 일본 정부는 다급해졌다. 정부는 9일 도쿄전력과 후쿠시마현에서 첫 현지조정회의를 열어 오염수 유출이 발견된 것과 동일한 종류의 탱크 300기를 일괄 교체하는 한편 10일 오염수 대책 논의를 위한 첫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2개월 내에 사태해결을 위한 종합대책을 내놓기로 했다. 국제사회의 우려를 불식시키기 위한 공보활동도 강화할 방침이다.

하지만 뒤늦게 시작된 정부의 대응이 무색하게 오염수 유출 사태는 이미 걷잡을 수 없이 악화하고 있다. 9일 도쿄전력은 앞서 오염수가 유출됐던 탱크의 북쪽에 위치한 관측용 우물의 지하수에서 베타선을 방출하는 방사성 물질이 리터당 3,200베크렐(㏃) 검출됐다고 발표했다. 4일 같은 탱크의 남쪽 우물에서 검출된 방사성 물질은 리터당 650㏃로 지하수 오염이 시시각각 악화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신경립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