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심층진단] 벤처투자 옥석 가리기

[심층진단] 벤처투자 옥석 가리기 신중하게 또 신중하게 한국디지탈라인의 부도와 정현준 파문으로 벤처투자가 얼마나 위험한 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주고 있다. 상당수 투자자들이 ‘대박’을 꿈꾸며 한국디지탈라인과 계열사인 평창정보통신에 거금을 투자했지만 한국디지탈라인 부도와 평창정보통신의 주식대금 미지급으로 엄청난 손실을 입었다. 대박은 커녕 원금도 날릴 처지가 됐다. 전문가들은 코스닥 등록기업 가운데 한국디지탈라인과 같은 벤처기업이 적지않은 만큼 투자할 때 ‘신중에 또 신중’을 기해야한다고 강조한다. 그래야만 제2의 정현준 피해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비즈니스모델이 확실한 기업에 투자하라=코스닥 등록기업을 살펴보면 외형상 순익은 내고 있지만 속내를 살펴보면 부실덩어리인 기업이 많다. 영업이익이 없는데도 수차례의 유상증자를 통해 자금을 끌어모아 타법인에 출자하거나 은행에 예치시켜 특별이익을 내고 있다. 이런 기업에 투자하는 것은 위험천만이다. 비즈니스모델이 확실한지, 독자적인 기술을 보유하고 있는지를 잘 살펴야 한다. ◇무리하게 사업을 늘리는 업체는 조심하라=벤처기업의 자금조달 창구역할을 해야 할 코스닥시장이 최근 문어발식 사업확장의 자금줄로 변질되고 있다. 기술개발 및 영업망 확대 등 사업의 시너지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해 타법인에 지분출자하는 것은 긍정적인 면이 있지만 일부 업체들은 단순히 돈벌이를 위해 출자를 늘리고 있다. 코스닥 기업들은 영업으로 번 돈의 4배나 많은 자금을 유가증권매입 등 머니게임에 쏟아붓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디지탈라인의 경우도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유입은 6억6,000만원에 불과했지만 지분투자 등을 위한 현금유출은 무려 53억원에 달했다. ◇신종 기업 인수합병(M&A) 및 인수후 개발(A&D)종목 투자도 주의하라= 올들어 부실경영으로 자본이 잠식돼 관리종목에 편입된 종목을 중심으로 인수합병 및 인수후 개발 붐이 일고 있다. 이들 재료를 기반으로 주식교환 및 출자전환 등을 통해 회사경영을 개선시키고 인터넷, 정보통신 등 성장기업으로 사업을 변신시킨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들 종목은 주식수가 적은데다 주가가 단기간에 급등해 차익매물이 쏟아질 가능성이 많아 투자자들의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한국디지탈라인이 대표적인 예이다. 서정명기자 입력시간 2000/10/29 19:23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