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김중수 “한국의 특이 정책 여건 바꿔야 양적완화 영향 줄일 수 있다.”

김중수 한국은행 총재가 양적완화로 풀린 유동성이 국내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려면 다른 나라와 비교해 한국의 특이 정책ㆍ여건을 바꿔야 한다 주장했다.

19일 한국은행 본관에서 열린 경제동향간담회에서 “글로벌 유동성이 움직일 때 어느 나라는 세게 부딪치고 어떤 나라는 덜 받는다. 세게 경험하는 나라들은 글로벌 스탠다드에 안 맞거나 정책이 특이한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중요한 것은 한국 특유의 유인을 제거해 유동성을 막을 준비를 하는 것”라 말했다.


김 총재는 선진국의 양적완화로 세계 금융시장에 풀린 유동성이 세계 무역규모의 5~6배 가량 될 것으로 분석했다.

관련기사



이어 “미국의 양적완화, 일본의 아베노믹스에 대한 한국의 대처 방법을 물을 때 정답은 ‘이를 한 나라가 막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는 것”이라며 “국제적 공조로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김 총재는 18~19일(현지시간)로 예정된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벤 버냉키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이 어떤 이야기를 하든 세계 시장이 많이 움직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