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크레스트와 기관투자가

SK㈜의 외국인 최대주주 등극 사건을 보면서 앞으로도 제2, 제3의 SK㈜가 나올 수도 있다는 생각에 착잡한 마음을 지울 수 없다. 우리 자본시장은 지난 90년 대들어 본격적인 `자유화`의 길로 들어서 최근에는 외국인이 자유롭게 국내 주식에 투자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됐다. 250조원이 넘는 상장사 시가총액 가운데 3분의 1인 100조원에 가까운 주식을 외국인이 보유하게 된 것도 이러한 자본 자유화의 결과다. 따라서 앞으로 외국 자본에 의한 국내 주식 매집사건은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 이번 사건을 지켜보면서 국내 기관투자가들이 너무도 취약하다는 점을 다시 한번 느꼈다. 만약 SK㈜ 주식의 주주명부를 지금 폐쇄한다고 가정할 경우 SK㈜ 주식을 가지고 있는 기관투자가는 거의 없을 가능성이 높다. 크레스트증권이 SK㈜ 주식을 집중적으로 사들일 때 국내 기관투자가들은 `투자 위험`에 대한 우려로 매도공세로 일관했기 때문이다. 너무나도 다른 시각차다. 크레스트는 SK의 자산가치가 뛰어나다고 판단해 SK글로벌 사태로 주가가 급락할 때를 매수시점으로 활용했다. 크레스트 측은 `지배구조 개선`과 함께 `경영 투명성`을 높인다면 SK㈜의 주가는 크게 오를 수 있다고 판단했다. 반면 국내기관은 향후 불거질 수 있는 위험에 집착해 손해를 감수하면서까지 물량을 털어냈다. 만약 국내기관이 SK㈜을 적정 수량 보유하고 있었다면 크레스트의 주식 매집이 쉽지도 않았을 뿐더러 비교적 장기간에 걸쳐 매집이 이뤄질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물론 기관의 입장도 이해는 간다. 대우사태에 놀라고 현대사태로 치명적인 타격을 입었기 때문에 `재무 리스크`가 커지는 주식을 무작정 보유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하지만 크레스트처럼 냉정하게 기업가치를 평가해 장기투자한다는 시각을 가질 수는 없었던 것일까. 자본시장이 자유화될수록 기관투자가의 역할은 더욱 중요해질 수 밖에 없고 국내기업의 지배력을 유지하는 데도 기관의 도움이 필수 불가결한 요소다. SK 사례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대주주들도 안정적인 지배구조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해야 하겠지만 기관투자가들도 투자방식을 재정비할 필요가 있다. <조영훈기자(증권부) dubbcho@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