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경제수필] 지혜와 파멸의 저울

지혜와 파멸의 저울적을 사지에 가두지 말라, 가두되 퇴로는 반드시 열어두라고 고금의 병서는 가르치고 있다. 퇴로를 모두 차단한다면 그속에 갇힌 적은 필히 결사의 무리가 될것이며 죽기로 작심할 것인 즉 그 힘을 당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햇볕정책에는 퇴로를 열어주는 의미가 있다. 적어도 우리 생각은 그렇다. 그러나 전쟁은 왕왕 오판에 의해 저질러진다. 열어 준 퇴로의 뜻을 잘못 짚을 수도 있으며 고립되어 에워싸인 사실조차 미리 깨닫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전쟁은 승리에의 확신과 더불어 개시되지만 패자는 늘 폐허의 잿더미 위에 세워져야만 비로소 자신의 전쟁이 무모했으며 필패의 것이었음을 깨닫게 된다. 돌아보면 전쟁의 역사는 종전을 기다릴 것도 없이 미리 승패가 확연했던 그런 사례로 가득 차 있다. 승자는 승리의 조건을 갖추고 있으며 패자는 패전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슬픈 것은 패배의 조건이 아무리 객관적으로 확연한 것이라하더라도 패자는 그 사실을 깨닫지 못하거나 받아들이려 하지 않는다는 점이다. 그러나 패자의 무모한 도박을 막을 묘책은 없다. 충고는 위협으로 들릴것이며 견제는 도발로 간주된다. 고금의 병서도 승리의 조건은 세세하게 기술하고 있지만, 또 아울러 패배의 조건에 관해서도 깊히 통찰하고 있지만, 그러나 패배의 조건을 갖춘 자의 처신에 관해서는 언급하는 바가 별로 없다. 약자의 굴욕을 인내하며 극복하는 것은 정치의 영역에 속하기 때문인지 모른다. 햇볕정책에도 그런 곡해의 여지가 적지않다. 퇴로의 뜻이 무시될 수 있으며 전쟁을 막자는 화해의 뜻이 곡해될 수 있다. 이쪽의 뜻이 저쪽에 바르게 전달되고 이해되지 못하는 위험은 얼마든지 있다. 그러나 두려운것은 저쪽의 곡해와 거부 뿐인 것은 아니다. 우리쪽 내부의 오해와 오판도 무섭다. 「개인에게든 국가에 대해서든 상대방이 절망과 분노에 치달을 만큼의 상처를 주어서는 안된다」고 말하지만 동시에「국가의 방위력은 무기와 국민의 전의(戰意)를 합친 것이다」라고도 말한다. 햇볕정책이 혹시라도 국민의 안보 경각심을 풀어지게 한다면 그 위험은 저쪽에 있지않고 우리쪽에 있게된다. 서해는 이쪽 저쪽의 의지와 지혜를 시험하고 있다. 저울의 한쪽에는 지혜가 얹혀 있으며 다른쪽에는 파멸이 놓여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