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黨政靑 '위기 신속대응체제' 구축

'靑 서별관회의' 벗어나 수시로 다양한모임 가동키로<br>단기 흐름에 일희일비 않고 '장기 대처시스템' 운영


청와대와 정부, 한나라당은 29일 경제위기와 관련해 정부의 각종 대책회의와 위기대응시스템을 총괄하는 당ㆍ정ㆍ청 회의체를 구성하는 등 신속대응체계를 구축키로 했다. 기존 경제정책 총괄기구로 거시경제 정책을 협의하던 청와대 서별관회의(거시경제점검회의) 체제에서 탈피해 정치권까지 포괄하면서 의사결정을 신속히 내리는 신속대응체제를 갖추기로 한 것이다. 당정은 이날 한승수 국무총리 주재로 총리공관에서 경제상황점검회의를 열어 경제위기 극복 종합대책을 점검, 후속 조치로 '경제위기 신속대응체계'를 구축하기로 했다. 이날 점검회의에는 정부에서 한승수 국무총리를 비롯해 전광우 금융위원장, 김동수 기획재정부 1차관이 청와대에서는 김동연 경제금융비서관, 당에서는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이 참석했다. 임태희 한나라당 정책위의장은 이날 기자와의 통화에서 "그 동안 서별관회의를 통해 거시경제정책을 협의해 왔지만 위기 대응과 관련한 모든 것을 결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면서 "당정이 수시로 여러 단위의 모임을 갖는 등 다양한 논의구조와 대책시스템을 가동해 당ㆍ정이 신속한 결정을 내릴 수 있는 시스템을 운영키로 했다"고 밝혔다. 당정은 특히 경제위기에 신속하게 대응하는 체계를 갖추되 너무 단기적 흐름에 일희일비하지 않고 장기전 차원에서 의연하게 대처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추기로 했다. 한 총리는 이와 관련, "세계 경기침체가 올수 있는 만큼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경제위기 극복 종합대책은 차질없이 만들어줘야 한다"고 말했다. 총리실 관계자도 "회의에서는 기존 정부 주도의 정책결정에서 탈피해 경제위기가 발생하면 당정청이 유기적으로 협조해 신속히 대처하는 체계를 갖추는 게 효과적이라는 공감대를 형성했다"면서 "구체적인 추진방안은 더 논의해 봐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현재 기획재정부 장관과 청와대 경제수석, 한국은행 총재, 금융위원장 등이 모여 거시경제 정책을 협의하는 '청와대 서별관회의'를 계속할지, 대통령이 직접 (경제) 수장을 할지, 아니면 여야 등 각계각층 모두가 참여하는 구조로 확대할 지 등에 대한 논의도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