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오세훈 서울시장 사퇴] "내년 총선·대선 좌우"… 與 '보수 대결집' 野 '단일화' 총력 전략

■ 서울시장 보선 스타트 <BR>한나라 "주민투표율 높은편… 지지층 모으면 승산" <BR>민주 "이번에는 6·2선거처럼 단일화 실패 없어야"

무상급식 주민투표 무산에 따른 책임을 지고 시장직을 사퇴한 오세훈(앞줄) 서울시장이 26일 오후 서소문 서울시청 별관에서 열린 이임식을 마친 뒤 직원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류효진기자

초대형 보궐선거의 막이 올랐다. 오세훈 서울시장의 사퇴로 10ㆍ26 재보궐선거에 서울시장이 포함되면서다. 서울시장이 갖는 정치적 위상이 크고 그 결과가 내년 총선 및 대선 구도에 미칠 영향도 크다. 여야 모두 총력전을 펼칠 수밖에 없게 됐다. 한나라당은 26일 오 시장의 사퇴 시기를 논의하기 위해 소집된 서울지역 당협위원장 조찬간담회에서 재보선 대책을 주로 논의했다. 홍준표 대표는 조찬간담회 직후 기자들에게 "오는 10월 초 사퇴하겠다고 세 번이나 약속했던 오 시장에 대한 일은 끝났다"며 "지금부터는 보궐선거 대책을 세워야 한다"고 말했다. 한나라당으로서는 주민투표 패배에 이어 서울시장까지 야권에 뺏기면 내년 총선∙대선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는 판단이다. 구상찬 의원은 조찬간담회에서 "서울시장까지 (야당에) 빼앗길 경우 전패의 상황에서 총선과 대선을 맞이한다"며 우려했다. 당내에서는 재보선에 대해 희망적인 예측도 나오고 있다. 이번 주민투표의 투표율이 25.7%로 당초 예상보다 높았기 때문에 여세를 몰아 보수층의 지지를 다시 이끌어낸다면 승산이 있다는 분석이다. 신지호 의원은 "(결과를) 비관적으로만 보지는 않는다"며 "25.7%는 한나라당에 대한 지지표를 결집시켰다고 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보수의 재결집을 이끌어내겠다는 선거 전략을 세웠다. 김기현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주민투표 과정에서 우리 당을 지지한 합리적이고 건전한 보수계층 시민들이 적극적으로 보궐선거에 참여하도록 해 선거 준비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민주당 역시 10여년 만에 서울시장을 탈환하기 위해 보궐선거에 총력전을 벌일 태세다. 서울시장 보선 확정 이전에 출범한 '10ㆍ26 재보선준비위원회'도 확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주민투표 무산의 여세를 몰아 선거에서도 승산이 높아졌다고 보고 있다. 정동영 최고위원은 "진보 대 보수, 복지 대 반복지의 선명한 대결로 승리할 수 있고 내년 선거 발판도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이미 출마 의사를 비쳤거나 후보로 거론되는 이만 10명가량이다. 어느 누구도 이번 서울시장 보궐선거가 무조건 이겨야 하며 최고의 후보를 내세워야 한다는 데 이견을 달지 않는다. 이에 대해 시사평론가 이종훈 박사는 "구도가 야권에 좋은 것은 사실이지만 한나라당에서 더 좋은 후보를 내면 질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손학규 대표 역시 "우리는 정치적 승리에 대해 겸허해야 한다"며 "주민투표 승리 앞에 우리는 몸가짐을 단정히 해야 할 것"이라며 지나친 낙관론을 경계하는 모습이다. 야권 단일화도 관건 가운데 하나다. 지난 6ㆍ2 지방선거 당시 야권 단일화 실패로 결과적으로 서울시장 선거에서 졌다는 책임론이 불거진 바 있다. 천정배 최고위원은 "민주개혁 진보세력이 통합하지 않고서는 내년 총선과 대선 승리를 장담할 수 없다. 이번 서울시장 보선부터 야권후보가 단일화해서 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지난해 지방선거에 출마했던 노회찬 전 진보신당 대표도 이날 한 라디오 인터뷰에서 "이번 서울시장 선거에서는 지난번과 같은 단일화 실패가 반복되지 않을 것이라고 확신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