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기민감 숙박·음식업 연체율 1년새 13배로 급등

상승세 부동산·도소매·건설 등 中企업종 전반으로 확산<br>일본 경기침체기와 비슷한 양상

중소기업 분야의 대표적 경기 민감업종인 숙박.음식업의 은행대출 연체율이 급등하고 부동산.임대업과 도소매업, 건설업, 제조업 등중소기업 업종 전반으로 연체율 상승세가 확산되고 있다. 3일 주요 시중은행에 따르면 지난 6월말까지 최근 1년간 중소기업의 업종별 연체율 현황을 비교 분석한 결과, 숙박.음식업종이 지난 6월말 현재 6.4%로 작년 6월말의 0.5%에 비해 불과 1년만에 무려 13배로 급등했다. 숙박.음식업종의 이 같은 연체율 급등은 숙박.음식업종이 경기변동에 가장 큰영향을 받는 업종인데다 지난 2002년 월드컵 개최시기를 전후해 정부의 지원대책으로 숙박.음식업체가 크게 늘어나 현재는 공급과잉 상태이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됐다. 이와 함께 나머지 중소기업 업종도 같은 기간 연체율이 부동산.임대업은 0.9%에서 2.9%, 도소매업은 8.1%에서 9.8%, 건설업은 1.9%에서 3.5%, 제조업은 4.0%에서 5.0% 등으로 상승했다. 이같은 연체율 상승은 경기 민감업종인 숙박.음식업에서 제조업으로까지 차례로이어졌던 일본의 경기침체기와도 매우 비슷한 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이 은행관계자들은 보고 있다. 금융연구원 최공필 선임연구원은 "이런 연체율 상승구조는 한 은행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다"라고 지적하고 "우리나라 은행들이 일부 호황업종이 생기면 미래의 위험부담을 생각하지 않고 단기적인 투자를 해온 것도 이런 현상을 부추긴 요인"이라고 분석했다. 최 선임연구원은 또 "내수경기 침체와 경기 양극화로 인해 서민들의 경제기반이갈수록 취약해지고 있는게 문제"라고 언급하고 "현재 상황에서 연체율 상승세 확산에 따른 문제가 쉽게 풀릴 가능성이 낮기 때문에 은행들은 위험관리를 더욱 강화할필요가 있다 "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김재홍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