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3월 25일] '中企男女' 인기 정부에 달렸다

SetSectionName(); [기자의 눈/3월 25일] '中企男女' 인기 정부에 달렸다 김흥록기자(성장기업부) rok@sed.co.kr

최근 보건복지가족부와 롯데백화점에 근무하는 미혼남녀 60명이 단체 미팅을 가져 화제를낳은 적이 있다. 복지부와 롯데백화점이 출산장려 캠페인 차원에서 마련한 이번 행사에 신청자가 몰려 이틀 만에 접수가 마감됐다고 하니 직원들의 관심이 얼마나 뜨거웠는지 짐작할 만하다. 여기까지는 그러나 대기업 및 정부기관의 이야기다. 주변의 중소ㆍ중견 기업으로 눈을 돌려보면 사정은 180도 달라진다. 한 중소기업 관련단체는 지난해부터 회원사에 근무하는 미혼 직원을 모아 단체미팅을 주선하고 있지만 신청자가 없어 애를 태우고 있다. 이 단체의 한 관계자는 "회원사 직원들의 관심은 높지만 실제 신청률은 아주 저조하다"며 "심지어 미혼 직원 몇 명만 보내달라고 읍소해야 하는 경우도 왕왕 발생한다"고 털어놓았다. 직원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설령 마음에 드는 상대가 있더라도 양쪽 다 중소기업에 근무하다 보니 실제 결혼하고 출산을 하기에 상대방 회사의 임금 수준이나 출산ㆍ육아 정책을 확신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한다. 우리나라 고용인구의 99%는 중소기업에 근무한다. 주변에서 흔히 보는 장삼이사들이 대부분 중소기업에서 삶의 터전을 잡고 있는 것이다. 이들 모두가 근무하는 회사의 여건에서 아이를 키울 답이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한다면 정부의 저출산 대책은 공회전할 수밖에 없다. 그동안 정부는 20조원가량의 예산을 쏟아 부어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려고 애썼지만 효과는 미미하다는 게 중론이다. 일부에서는 저소득층 가구에 직접 출산보조금을 주는 방식의 대책부터 고쳐야 한다고 지적한다. 상황이 이렇다면 많은 이들이 몸담고 있는 중소기업부터 먼저 '일과 가정이 양립'하는 곳으로 유도해야 하지 않을까 싶다. 중소기업체가 몰린 공단 입구에 번듯한 공동 탁아시설이라도 만들어주고 정부에서 육아시설 운영비를 보조해주거나 세제혜택을 주는 등 근본적 대책 마련이 필요한 시점이다. 내가 몸담은 회사가 '중소기업'이기 때문에 오히려 아이를 기르는 데 유리하다면 너도나도 단체 미팅을 신청하는 모습이 꼭 대기업 이야기에만 머무르지 않을 것이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