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돈의문 원형에 가깝게 복원된다

고궁박물관서 실물현판 발견

조선시대 4대문 중 하나인 돈의문(서대문)이 오는 2013년 원형에 가깝게 복원된다. 돈의문은 일제시대에 철거된 후 4대문 가운데 유일하게 미복원 상태로 남아 있었다. 서울시의 한 관계자는 27일 “돈의문 복원을 위해 고증자료를 수집하던 중 국립고궁박물관에서 돈의문 실물 현판을 소장하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이 현판은 가로 233㎝, 세로 108.3㎝ 크기에 앞면에 ‘敦義門(돈의문)' 세 글자가, 뒷면에는 ‘신묘년 11월15일 숙종 37년(1711년) 유학 조윤덕이 쓰고 이후 2월18일 영조 25년(1749년)에 영건소에서 개조’라는 내용의 한자가 음각으로 새겨져 있다. 시의 한 관계자는 “기존에 확보한 돈의문 외관 사진 자료만으로는 현판의 대략적인 치수만을 유추해내는 데 그쳤으나 실물현판의 발견으로 정확한 치수뿐 아니라 건축물의 양식과 기법도 정확히 알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시는 돈의문 외관을 담은 사진 15점과 실물 현판의 크기를 비교해 기둥의 간격과 건축물 높이, 성벽을 이루는 석재의 크기 등 세부사항을 고증한 뒤 2013년까지 정동길 일대 5,440㎡ 부지에 복원할 계획이다. 조선 태조 5년(1396년)에 창건된 돈의문은 세종 15년(1422년)에 정동길 인근으로 옮겨졌으며 임진왜란 때 멸실됐다가 숙종 37년(1711년)에 재건됐다. 하지만 창건 519년 만인 1915년 일제 강점기 당시 이 지역에 전차가 들어서면서 강제 철거됐다. 시 관계자는 “복원될 돈의문 주변에 역사문화공원을 조성해 문화체험의 장을 만들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