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대형마트 영업 제한 효과 미미… 재래시장으로 25%도 안 옮겨가

정진욱·최윤정 연대 교수 논문<br>무상보육 경제왜곡 우려

정권교체가 임박한 시기인 만큼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첫날부터 정부정책에 대한 쓴소리가 많이 나왔다. 특히 대형마트에 대한 영업제한이나 전면보육교육 등 포퓰리즘 성격이 강한 정책에 관해서는 정책효과가 의심된다는 지적도 있었다.


정진욱ㆍ최윤정 연세대 경제학부 교수는 '대형소매점 영업제한의 경제적 효과'라는 논문을 통해 대형마트의 영업제한 규제가 재래시장과 중소 슈퍼마켓 활성화 목적을 거의 달성하지 못한다고 지적했다. 논문에 따르면 대형마트에서의 소비액은 영업제한으로 8.77% 감소해(월 평균 2,307억원) 연간 총 2조7,678억원 감소한 것으로 추정됐다. 반면 재래시장ㆍ소형 슈퍼마켓으로의 소비전환액은 월 평균 448억~515억원에 불과했다. 대형마트 소비가 줄어든 것의 4분의 1도 옮겨가지 못한 셈이다.

관련기사



영업제한은 오히려 소비자의 시간과 장소선택을 제약했다. 소비자의 기회비용 대비 거래비용을 5%로 가정할 경우 소비자 불편은 연간 2조2,888억원(월평균 1,907억원)이나 됐다. 또 소비자 후생감소분 중 혼잡비용은 연간 1,983억원(월평균 165억원)이었다.

대형소매점에 납품하는 업체도 매출이 줄었다. 월평균 1,872억원 정도로 이 중 960억원은 농어민이나 중소업체의 손해로 추정됐다. 이 밖에도 유통효율성 저해(연간 4,082억원), 소비감소에 따른 세수감소(법인세 연간 24억5,000만원, 부가가치세 연간 498억원) 등도 손실로 집계됐다. 정 교수는 "영세상인 매출을 500억원 남짓 올리기 위해 다른 부문에서 수천억원의 손실을 보느니 차라리 500억원의 이윤을 현금으로 보전해주는 게 더 효율적인 정책이 될 것"이라고 비판했다.

정부의 전면 무상보육이 오히려 정부 독점으로 이어지면서 경제적 왜곡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현진권 한국경제연구원 사회통합센터소장은 '무상보육정책에 대한 근본적 비판: 공공성 논리와 정부실패'에서 "정부의 시장규제 개선을 통해 시장이 효율적으로 보육서비스를 담당할 수 있을 경우에는 정부의 투자확대를 통한 공공성 강화가 오히려 정부재원의 낭비로 귀결된다"고 비판했다. 현 소장은 "시장실패와 정부실패라는 두 가지 실패가 야기하는 왜곡을 직시, 최적의 역할부담을 찾으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연선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