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파킨슨병 치료 도파민 신경세포, 국내 연구진 개발

세포응용연구사업단 김동욱 교수팀


파킨슨병 치료에 필수적인 도파민 신경세포를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대량 생산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과학기술부는 정부 21세기 프런티어연구개발사업의 지원을 받는 ‘세포응용연구사업단’에서 인간 배아줄기세포로부터 세계 최고 순도(86%ㆍ총 신경세포 중 도파민 신경세포 수율)의 도파민 신경세포를 효율적으로 대량 생산하는 방법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김동욱 연세대 의대 교수와 제일약품의 조명수 박사 연구팀이 참여해 개발한 이 기술은 인간 배아줄기세포에서 삼배엽으로 구성된 배아체를 만들고 이로부터 신경전구세포만을 선별, 덩어리를 만든 뒤 연속 배양해 신경전구체를 대량 생산하는 방법이다. 김 교수는 “이렇게 얻어진 신경전구체에 신호유도물질을 처리해 고효율의 도파민 신경세포로 분화할 수 있게 된다”고 설명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지금까지 세계 최고 분화 수율은 약 60~70% 수준에 불과하다. 연구팀은 새로운 방식의 생산과정을 통해 얻은 고순도 도파민 신경세포를 실제 파킨슨 쥐 모델(26마리)에 이식한 결과 기형종(테라토마) 없이 세 가지 행동 테스트에서 파킨슨 증상의 회복을 도출한 상태라고 밝혔다. 또 이번 연구 성과가 미국 국립과학원 회보(PNAS) 최신호에 주요 논문으로 소개됐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