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상위10% 근로소득 하위10%의 43배

하위10% 근로소득 작년보다 11% 감소

소득 최상위 10% 계층과 최하위 10% 계층의 근로소득 격차가 확대돼 40배를 넘어섰다. 21일 통계청의 2006년 1.4분기 전국가구의 가계수지 동향에 따르면 소득 최상위10%에 해당하는 10분위 계층의 월 평균 근로소득은 491만원으로 최하위 10%인 1분위계층 11만2천원의 43.8배에 달했다. 이런 격차는 지난해 1.4분기의 38.8배보다 훨씬 확대된 것으로 전국가구의 가계수지 통계가 작성된 2003년 1.4분기 이후 가장 크다. 1.4분기 기준으로 10분위와 1분위의 근로소득 격차는 2003년 35.1배에서 2004년34.8배로 소폭 축소됐지만 2005년부터 다시 확대되기 시작했다. 민간 경제연구소 관계자들은 "1.4분기에는 대기업의 성과급, 상여금 등이 지급되기 때문에 고소득 임금근로자가 많은 상위 계층과 하위 계층 간의 근로소득 격차가 다른 분기보다 더 크다"고 설명했다. 연구소 관계자들은 이어 "10분위는 전체 소득 중 근로소득의 비중이 60% 안팎에 달하지만 1분위의 근로소득 비중은 30% 정도에 불과해 10분위와 1분위의 근로소득 격차가 다른 소득에 비해 크다"고 말했다. 연구소 관계자들은 하지만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근로소득 격차가 커진 것은경기 회복세가 바닥까지 확산되지 않아 구조조정 등으로 자영업에서 퇴출된 무직자들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며 "소득 격차 해소를 위해서는 하위 계층에 고정 소득을 보장할 수 있는 일자리를 마련해 줘야 한다"고 지적했다. 올해 1.4분기에 1분위의 근로소득은 11.1% 감소했고 1분위의 월 평균 전체 소득에서 근로소득이 차지하는 비중도 26.3%로 지난해 동기보다 3.1%포인트 줄었다. 또 10분위와 1분위의 재산소득(이자.배당.부동산임대 등) 격차는 7.1배로 지난해 1.4분기의 10.4배보다 축소됐지만 사업.부업소득 격차는 19.9배로 지난해의 17.6배보다 확대됐다. 이전소득(공적연금.사회보장 등) 격차는 2.7배로 지난해 1.4분기의 2.5배보다소폭 커졌고 비경상소득(경조금.퇴직금.연금일시금 등) 격차도 24.5배로 1년 전의 19.5배보다 확대됐다. 10분위(807만5천원)와 1분위(42만6천원)의 전체 소득 격차는 18.9배로 지난해 1.4분기의 18.2배보다 소폭 늘어났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