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프리 프랑켈 하버드대 케네디스쿨 교수는 한국경제연구원이 한국경제학회·한미경제학회와 공동으로 3일(현지시간) 미국 보스턴 콜로네이드 보스턴호텔에서 개최한 '2015년 아시아 및 세계경제 전망 세미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정책 정상화와 관련해 "실업률이 중요한 선제적 지침이며 중간 예측치를 고려할 때 6월 정도가 금리인상의 가능성이 가장 큰 시기"라고 전망했다.
앞서 로레타 메스터 미국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 총재가 2일(현지시간) 폭스 비즈니스네트워크와의 인터뷰에서 "상반기에 금리가 오를 것으로 예상한다"고 언급한 데 이어 프랑켈 교수의 전망까지 더해지면서 미국 금리인상이 상반기 중에 이뤄질 것이라는 관측이 기정사실화되는 분위기다.
래리 서머스 전 미국 재무장관이 주장하고 있는 구조적 장기침체와 관련, 프랑켈 교수는 "미국의 성장 둔화는 생산성 개선속도가 낮았기 때문"이라며 "최근 생산성의 둔화는 연방정부 셧다운 같은 재정정책의 불확실성이 원인이기 때문에 장기정체론에 대해서는 다소 회의적인 입장"이라고 밝혔다.
전방남 미국 드렉셀대 교수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글로벌 경제에 미칠 여파를 유럽과 일본이 일정 부분 줄여줄 것이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그는 "미국의 금리인상이 신흥국 자금유입을 감소시킬 것"이라면서도 "유로존 국가들과 일본의 양적완화 정책이 전체적인 자금유입의 감소폭을 완화하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반면 오정근 한경연 초빙연구위원은 미국 금리인상과 일본의 양적완화에 따른 엔저 현상이 겹칠 경우 지난 1997년과 같은 동아시아 외환위기가 재발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오 초빙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인상과 일본·유럽의 양적완화 가속화, 중국의 통화정책 완화로 인한 통화정책의 탈동조화는 슈퍼달러 초엔저로 대변되는 통화전쟁을 가열시킬 것"이라면서 "미국의 금리인상으로 동남아 신흥시장국의 자본유출이 외환위기로 이어질 경우 한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전역이 1997년과 같은 금융위기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외화유동성 점검과 함께 동아시아 통화금융협력제도를 보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