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獨월드컵 '특수' 큰기대 마세요"

2002년 한일월드컵 '성적표' 봤더니…<br>"축구 보느라…" 유통업체 내방객 줄어 매출 뚝<br>6월전후 산업생산·도소매업 지수도 일제 하락<br>"이번엔 한밤중에 열려 그나마 다행" 목소리도


오는 6월9일부터 열리는 독일 월드컵이 다가옴에 따라 월드컵 경제특수에 대한 기대감이 무르익고 있다. 이를 반영이라도 하듯 최근 들어 PDP TV 매출이 증가하는 등 소비특수 징후마저 감지되고 있다. 하지만 과거 2002년 월드컵 당시를 보면 ‘반짝 효과’로 그칠 가능성이 다분하다. 한일 월드컵이 열린 지난 2002년 6월의 경우 유통업체 매출은 일반적인 예상과는 정반대로 뚝 떨어졌으며 소비자평가지수도 하락세로 돌아서는 등 소비가 급격히 위축됐다. 다만 이번 월드컵은 대개 한밤중이나 새벽에 열려 한일 월드컵과 단순 비교하기는 힘든 측면이 있다. 재정경제부의 한 관계자는 “산업활동동향ㆍ소비자기대지수 등이 2002년 6월 전후를 기점으로 하강곡선을 그린 기억이 생생하다”며 “경기가 끝나고 2002년 월드컵이 소비 등 경제에 미친 영향을 분석했으나 성적표가 너무 좋지 않아 발표하지 않았다”고 당시를 회상했다. ◇2002년 6월, 유통업체 악몽의 기억=한일 월드컵이 열린 2002년 6월. 백화점ㆍ할인점 등 유통업체들은 내방객이 줄면서 매출 증가율이 큰 폭으로 둔화되는 경험을 했다. 당시 산업자원부 자료를 보면 백화점ㆍ할인점의 내점객 수가 전년동월에 비해 5% 감소했다. 매출 증가율은 전년동월 대비 백화점 4.2%, 할인점 4.4% 등이었다. 백화점의 2002년 5월 매출 증가율이 전년동월 대비 10.3% 성장세를 기록한 점에 비춰보면 형편없는 성적표다. 특히 2002년 6월 한달 중 한국전이 있었던 7일간의 매출은 백화점ㆍ할인점 모두 전년동기 대비 15~20% 감소하기도 했다. ◇산업활동동향 등 경제지표도 일제히 하락=경제지표도 6월 전후로 일제히 하강곡선을 그렸다. 도소매업 판매액 지수의 경우 2002년 4월 116.5에서 5월 118.3으로 상승하다 6월에 112.8로 추락한 뒤 7월에는 111.9로 내려앉았다. 소비자지수도 비슷하다. 기대지수는 2002년 5월 109.1에서 6월 110.6을 기록하다 7월 107.8, 8월 106.2 등으로 하락했다. 전국의 산업현장도 멈춰 산업생산지수가 2002년 5월 112.3에서 6월에는 7.9% 하락한 103.4를 기록했다. 월드컵 경기를 보느라 일손도 놓았던 것이다. 신민영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독일 월드컵 때도 2002년 한일 월드컵과 같은 현상이 나올 수 있다”며 “5월에는 소비가 다소 살겠지만 6월 이후에는 큰 폭으로 위축되면서 경제에 부담을 주지 않을까 우려된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