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나라 부품산업 泰수준 불과

우리나라 부품산업의 비교우위 제품 비율이 타이완과 중국에 뒤져 타이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은 29일 ‘한ㆍ일 FTA(자유무역협정), 상생의 조건은 무엇인가’라는 보고서에서 일본 경제산업성이 발간한 ‘2004 통상백서’를 근거로 이같이 분석했다. SITC(표준국제무역분류) 기준 60개 부품에 관해서 RCA(현시비교우위)지수가 1이상인 품목의 비율을 기준으로 할 때 우리나라의 비교우위 부품 비율은 15.0%로 타이와 같았다. 이에 비해 타이완은 28.3%, 홍콩은 23.3%, 싱가포르와 중국 20.0%, 말레이시아 18.3% 등으로 다른 아시아 주요 국가들이 우리나라보다 높게 나왔다. 조사 대상 아시아 10개국 중 우리나라보다 이 비율이 뒤지는 국가는 10%를 기록한 필리핀과 인도네시아 두곳 뿐이었다. 비교우위 부품 비율 1위는 56.7%를 기록한 기술 선진국 일본이었다.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대상이 된 60개 품목에서 우리나라가 전세계 교역에서 경쟁력을 보유한 품목이 15%에 불과하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이 연구원은 “일본에 크게 뒤질 뿐 아니라 우리나라보다 관세율이 훨씬 낮은 홍콩ㆍ싱가포르ㆍ타이완에도 못 미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 연구원은 또 일본 전자부품 상위 10개사와 국내 전자부품 상위 10개사의 수익성을 비교한 결과 일본 상위업체들은 과거 10년간(1994∼2003년) 평균 영업이익률이 11.3%인 반면 국내 상위업체들은 평균 영업이익률이 5.5%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LG경제연구원은 국내 전자부품산업이 고수익 사업이라는 통념과 달리 수익성이 실망스러운 수준이라며 이러한 저 수익성의 핵심원인은 낮은 기술력이라고 지적했다. /윤혜경기자 light@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