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소니 '배터리 리콜' 수렁속으로

도시바 배상청구까지 계획… 타업체도 뒤따를듯<br>兆단위 비용부담에 최악땐 사업부 정리 가능성도

소니 '배터리 리콜' 수렁속으로 도시바 배상청구까지 계획…타업체도 뒤따를듯막대한 비용부담에 최악땐 사업부 정리 가능성도 김정곤 기자 mckids@sed.co.kr 일본의 대표적 전자업체인 소니가 노트북용 배터리 리콜 후유증으로 곤혹을 치르고 있다. 올들어 끊임없이 이어지는 대량 리콜이 결국 손해 배상금 청구 문제로까지 번지는 양상이다. 16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소니 배터리를 리콜한 업체 중 하나인 도시바가 소니에 배상금을 청구할 계획이라고 보도했다. 도시바는 최근 소니 배터리 83만개를 리콜한 바 있다. 소니는 도시바가 배상금을 청구할 경우 도시바가 소니 배터리를 리콜하고 새 배터리를 구매한 가격은 물론 출하 비용까지도 고스란히 떠안게 될 전망이다. 도시바 고위 관계자는 "도시바의 브랜드 신용도를 떨어뜨리고 매출을 감소시킬 수 있는 사태에 대해 배상을 요구할 수 밖에 없다"며 "개인용 컴퓨터 수요가 가장 많은 연말 쇼핑 시즌에 앞서 배터리를 리콜해 피해가 크다"고 말했다. 후지쯔 역시 소니에 배상금을 요청할 것으로 전망됐다. 다른 일본 업체들도 리콜 물량을 늘리거나 새로 리콜을 발표하며 소니 측을 당황하게 만들고 있다. 이날 일본 전자 업체인 샤프는 7개 노트북 모델에 장착된 배터리와 따로 판매된 배터리를 포함, 총 2만8,000개의 소니 배터리를 리콜하겠다고 밝혔다. 샤프의 다케나미 히로시 대변인은 "소니의 노트북용 배터리의 과열 문제로 인해 새로운 배터리를 무상으로 공급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도시아키 고이케 후지쓰 대변인도 "이 달 초 발표했던 리콜 범위를 기존의 28만7,000개에서 추가로 5만1,000대를 늘려 33만8,000개로 확대했다"고 말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샤프의 리콜 동참으로 전세계적으로 770만개 이상의 소니 배터리가 리콜됐다. 잇따른 리콜과 손해배상 청구로 소니는 재정적 부담을 피할 수 없을 전망이다. 관련 업계에서는 소니가 리콜 비용으로 배터리 개 당 50달러 정도 부담해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손해배상 청구액의 규모는 알려지지 않았지만 지금까지 리콜이 결정된 770만대에 대한 리콜 부담액과 합칠 경우 막대한 비용이 들 전망이다. 때문에 일각에서는 최근 구조조정을 마치고 사업 정상화를 노리고 있는 소니가 이번 리콜 사태로 경영상의 심각한 타격을 받는 것은 물론 사업부 정리 등 특단의 조치까지 내놓을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리콜 소식이 전해질 때 마다 소니의 주가는 곤두박질 치곤 했지만 이날은 최근 일본 주가강세 분위기에 묻혀 별다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입력시간 : 2006/10/16 16:34

관련기사



김정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