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오피스텔 수익률 하락 주의보

올 서울 평균 분양가 크게 올라 사상 최고<br>年수익률은 4% 수준 그쳐 "투자 신중해야"

오피스텔이 최근 부동산시장 틈새상품으로 부상하면서 높은 인기를 끌고 있지만 분양가가 지난해보다 크게 올라 임대 수익률이 떨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강남 테헤란로 오피스텔 전경.

오피스텔 분양가가 급상승하면서 수익률 하락 주의보가 내려졌다. 오피스텔은 투자금액이 비교적 적고 임대수익이 가능하다는 점이 부각되며 최근 들어 인기가 치솟고 있다. 최근 분양된 '강남역 아이파크'는 평균 32.7대1의 경쟁률을 기록한 데 이어 100% 계약률을 달성하기도 했다. 하지만 높은 인기를 타면서 분양가 역시 수직 상승하고 있다. 부동산114에 따르면 올해 서울 지역 신규 오피스텔 분양가는 3.3㎡당 평균 1,394만원으로 오피스텔 분양이 봇물을 이뤘던 지난 2005년의 3.3㎡당 1,292만원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나타냈다. 지난해 평균 분양가 815만원에 비해서는 무려 71.0%나 급등한 것이다. 이 같은 분양가 상승은 수익률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강남역 아이파크 49㎡의 예상 수입은 보증금 1,000만원에 월 100만~120만원 정도로 최대 연 수익률이 연 4%선 안팎이다. 앞서 분양된 논현동 'LIG 리가'의 경우도 분양가가 3.3㎡당 1,500만~1,600만원대로 예상 임대료 수준이 4%대에 불과하다. 취득ㆍ등록세 중개수수료, 공실률 등을 감안하면 수익률이 더 떨어질 수도 있다. 잇따른 경쟁상품 출현도 오피스텔 수익률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1~2인용 도시형 생활주택 등의 공급이 크게 늘어나고 있고 고시원 역시 고급화 바람을 타고 오피스텔 시장을 잠식하고 있다. 더구나 오피스텔은 시세차익을 기대하기 힘든 단점이 있는 만큼 투자에 신중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 2만여가구의 오피스텔 군락이 형성된 부천 중동 지역의 경우 최근의 시세회복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4년 전 분양가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박상언 유앤알컨설팅 대표는 "오피스텔은 청약 제한이 없는 만큼 아파트에 비해 쉽게 과열될 수 있다"면서 "수익률, 입지, 자금마련 계획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투자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표는 또 "최근 분양가가 올라가면서 가뜩이나 낮은 도심지 오피스텔의 수익률이 더 떨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