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내 TFT­LCD 3총사/대형화면시장 선점 출사표

◎미 추계컴덱스쇼에 별도 전시관 마련/대형제품 대거 출품/해외시장공략 나서삼성전자 등 국내 박막트랜지스터액정표시장치(TFT­LCD)생산업체들이 대형화면시장을 잡기 위한 출사표를 던졌다. 삼성·LG·현대전자 등 TFT­LCD업체들은 17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개막된 추계 컴덱스 쇼에 자체전시관을 마련해 차세대 제품을 선보이며 적극적인 시장공략에 나섰다. 세계에서 가장 큰 30인치 제품을 개발한 삼성전자는 대형화면시장이 당초 예상보다 빨라지고 있는 추세에 맞춰 모니터용으로는 15.1·17.1인치를, 노트북PC용으로는 13.3인치와 14.1인치를 출품했다. 삼성은 반도체기술에서 쌓은 명성을 발판으로 TFT­LCD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방침 아래 별도로 마련한 부스에서 해외바이어를 적극 유치, 시장을 선점한다는 전략이다. LG전자는 올해말 또는 내년초부터 노트북PC의 주력제품이 12.1인치에서 13.3인치로 바뀌고 내년말에는 이보다 큰 제품이 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하고 13.3인치와 14.1인치제품을 대거 선보였다. TFT­LCD사업을 차세대유망사업으로 집중육성하고 있는 현대전자도 차세대시장을 겨냥해 노트북PC용으로는 12.1인치와 13.3인치 제품을 선보이고 생산능력이 확충되는 내년말부터는 14.1인치 제품을 개발, 선보인다는 전략이다. 현대는 현재 제1공장에서 2백70×4백70㎜기판을 1만2천매, 제2공장에서 5백50×6백50㎜기판 6천매를 생산하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6백×7백20㎜ 라인을 본격가동해 월간 3만매의 기판을 생산할 계획이다. LG전자도 같은 계열의 LG반도체를 통해 내년부터 3세대라인인 5백50×6백70㎜기판을 이용해 13.3인치와 15.1인치 제품을 주력제품으로 시장에 선보일 계획이다. 업계관계자는 『이번 라스베이거스 컴덱스 쇼를 통해 해외시장을 적극 공략한다는 방침이다』고 말했다.<김희중 기자>

관련기사



김희중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