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SEN 12시 주요뉴스

# 3월 광공업생산 전월대비 2.6%↓…1년來 최대감소

자동차 9.8% 감소…서비스업1.0%↓


지난달 광공업 생산이 1년 만에 가장 많이 줄어들었습니다. 경기선행지수도 3개월째 하락세를 이어갔습니다.

통계청은 지난달 광공업 생산이 전달보다 2.6% 감소했다고 밝혔습니다.

광공업생산은 지난해 9~12월 오름세를 타다 올해 1월 감소세로 돌아선 뒤 석 달 연속 마이너스를 기록했습니다.

업종별로 보면 자동차 생산이 전월대비 9.8% 감소했으며 영상음향통신(-9.1%), 기타운송장비(-5.4%)도 생산이 크게 줄며 제조업이 전체적으로 2.5% 감소했습니다.

이밖에 서비스업(-1.0%), 건설업(-3.0%), 공공행정(-7.1%) 부문도 모두 감소세로 반전되면서 전(全) 산업생산도 2.1% 떨어졌습니다.

경기동행지수 순환변동치가 2월보다 0.4포인트 내려간 가운데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는 0.1포인트 떨어져 3개월째 감소세를 이어갔습니다.

# 3월 대출 연체율 1.15%…3개월만에 내림세

가계대출 연체율 0.96%로 0.08%포인트 하락

주택구입수요 증가로 대출잔액 2.3조원 늘어

국내은행의 기업과 가계대출 연체율이 3개월 만에 내림세로 돌아섰습니다.

3금융감독원에 따르면 3월말 현재 국내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은 1.15%로 전월 1.26%보다 0.1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08%포인트 떨어진 0.96%로 집계됐습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전월보다 0.05% 포인트 하락한 0.91%였으며 신용대출을 포함한 나머지 가계대출 연체율은 1.09%로 0.12%포인트 떨어졌습니다.


기업대출은 연체율이 1.32%를 기록하며 전월 대비 0.13%포인트 감소했으며 이중 대기업 연체율은 0.94%로 0.08% 감소했으며 중소기업 연체율은 0.2%포인트 내려간 1.45%를 기록했습니다.

관련기사



연체율이 떨어진 이유는 계절적 요인으로 부실채권 상각 등 연체채권 정리 규모(3조7천억원)가 신규 연체 금액(2조6천억원)을 크게 넘어섰기 때문입니다.

한편, 같은 기간 은행의 원화대출 잔액은 1112조원으로 2조3000억원 늘었습니다. 이사철을 맞은 데다, 취득세 감면 연장의 기대효과로 주택구매 수요가 늘면서 가계대출 잔액이 전월보다 2천억 증가한 459조7000억원을 기록했으며 대기업 대출은 158조9000억원으로 1000조원 줄어든 반면, 중소기업 대출은 470조9000억원으로 2조8000억원 늘었습니다.

# 외국계IB, "한국 경제 점진적 회복 전망"

“2분기부터 민간소기 개선 기대”

다수의 외국 투자은행(IB)들이 한국 경제가 향후 점진적인 회복세를 이어갈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BNP파리바, 바클레이즈 캐피털, 시티그룹, HSBC, 모간 스탠리 등 대부분의 해외 IB들은 한국 경제가 정부의 적극적 경기부양 노력 등에 힘입어 1분기를 시작으로 점진적 회복세를 이어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바클레이즈 캐피털은 정부 재정지출 확대 등으로 2분기부터 민간소비가 개선될 것이라고 예상했고, 시티그룹은 올해 잠재성장률 추정치를 0.1%포인트 올렸습니다.

일부 외국계 투자은행들은 1분기 예상치를 웃도는 성장률을 기록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달러ㆍ엔 환율 100엔 수준은 한국 경제에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는 점을 시사한다고 진단하기도 했습니다.

#국회, 취득세ㆍ양도세 감면법안 오늘 처리

하도급ㆍ연봉공개ㆍ정년연장 등 경제민주화 법안 논의

국회는 오늘 본회의에서 취득세ㆍ양도소득세 한시 면제를 골자로 하는 4ㆍ1부동산대책 관련 법안을 처리합니다.

취득세 한시 감면 조치를 담은 지방세특례제한법 개정안은 전날 국회 안전행정위를 통과한 데 이어 이날 법사위를 거쳐 국회 본회의에 상정될 예정입니다. 양도소득세 한시 감면을 골자로 하는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도 법사위를 거쳐 본회의에서 처리될 전망입니다.

두 법안은 야야간 큰 이견이 없어 통과가 무난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한편 이날 법사위에서는 전날 논란 끝에 처리되지 않은 하도급법 개정안이 재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이 법안은 하도급 대금의 부당단가인하·부당 발주취소·부당반품 행위에 대해 3배 범위 내에서 징벌적 손해배상 책임을 부과하는 내용입니다.

이밖에 5억원 이상 등기임원의 연봉을 공개하는 법안과 근로자의 '정년 60세' 로 의무화 하는 이른바 경제민주화 법안이 법사위에서 논의될 예정이지만 본회의 상정은 불투명한 상황입니다.

/서울경제TV 보도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