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한류상품 아시아서 지재권 피해 심각

한국 드라마, 음반, 영화 등 문화상품들이 중국,베트남 등 한류가 일어난 대부분의 아시아 국가에서 지적재산권을 침해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코트라(KOTRA)가 중국, 홍콩, 대만, 일본, 베트남, 싱가포르,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 등 한류가 일어난 8개국을 대상으로 조사해 22일 발표한 '한국 문화상품지적재산권 피해' 보고서에서 드러났다. 이 보고서에 따르면 한류의 근원지인 중국에서는 한국 문화상품의 지재권 침해가 심각한데 불법 복제된 DVD, VCD가 한국 영화의 인기를 유지하고 있을 정도다. 중국산 불법 복제 DVD, VCD는 중국뿐 아니라 동남아 한류 국가에서도 유통되고 온라인상으로도 거래되고 있다. '한게임' '미르의 전설' 등 온라인 게임의 불법 복제와 자동차 디자인, 오리온초코파이, 정관장인삼, 빈폴, 르까프 등의 상표 도용이 심각한 실정이다. 홍콩에서도 한국 드라마, 음반, 캐릭터 등의 불법 복제품 거래가 성행하고 있다. 특히 홍콩에는 관련 '페이퍼 컴퍼니'(서류상의 회사)만 등록돼 있고 중국 본토에서 복제품 및 가짜 상품이 생산, 유통되는 경우가 많아 단속이나 소송이 어려운상황이다. 홍콩에는 '태극기 휘날리며' '실미도', '대장금' 등 영화나 드라마 불법 복제물의 유통, 캐릭터 무단 도용이 성행하고 '보아' '베이비복스' '비' 등의 음반 복제품이 많다. 대만에서는 정부의 엄격한 단속에도 불구하고 한류 문화상품의 DVD, VCD 불법복제물이 인터넷 사이트 등을 통해 유통되고 한국 온라인 게임의 데이터베이스가 도용된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일본은 한국 지재권 침해사례가 많지 않으나 '겨울연가' 주인공 목걸이가 위조판매된 것으로 알려져 일본 업체간에 판권 분쟁 대상이 되고 있다. 베트남에서는 중국산 한류 DVD, VCD 불법 복제물이 비디오가게 등에서 공공연하게 유통되고 있으며 싱가포르에서도 한류 영화, 드라마 등의 불법 복제물들이 유통되고 있다. 이슬람 문화권으로 한류 형성 초기 단계인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에서도 한류문화상품 불법 복제물이 상당수 거래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코트라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한류 상품의 해외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지재권을 보호받는게 중요하고 이를 위해서는 업계와 정부의 체계적인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며 "다만 지나친 단속은 한류붐을 지속시키는 데 역효과를 낼 수도 있어 이에대해서는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서울=연합뉴스) 현경숙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