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외칼럼

[로터리] 비교되지 않는 '착한 고집'


'착한 식당'을 찾아 소개하는 TV 프로그램이 인기리에 방영되고 있다. 음식 재료와 양념은 천연 그대로를 쓰는지, 주방은 청결한지, 고객 서비스는 잘 하는지 등 다양한 측면이 종합적으로 평가된다.

하지만 가장 큰 평가 항목은 자칫 무식해 보일 수 있을 만큼 확고한 사장님의 '고집'이 아닌가 싶다.


좀 더 살펴보면 착한 식당의 고집에는 비교가 없다.

기업과 기업뿐 아니라 직장 동료, 친구, 때로는 가족들 간에도 서로가 서로를 비교해서 누가 더 잘하고 못했는가를 따지곤 한다. 반면 착한 식당 사장님들은 본인들의 음식을 타 식당과 절대 비교하지 않는다. 맛과 질 등에서 누구보다 본인이 자신하기 때문일 것이고 남들과 비교한다면 색깔을 잃고 결국 손님까지 잃게 된다는 것을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배웠을 것이다.


그리고 착한 식당의 고집에는 다름이 있다. "그 전복죽은 뭐가 달라?" "응, 남해에서 바로잡은 전복만 써"라는 식이다. 물론 그 다름을 위해 전복죽 식당 사장님은 오전에는 해녀가 돼 직접 전복을 캐오기도 하고 점심 이후부터는 주방장이 돼 음식을 마련하고 서빙도 직접 한다. 다름을 찾아 만들고 이를 지켜내는 뼈를 깎는 노력이 있어야 진정한 다름이 완성된다.

관련기사



마지막으로 착한 식당의 고집에는 꾸준함이 있다. 고객들은 냉정하다. 고객들이 몰려오다가도 어느 날은 갑자기 한 명도 오지 않는 날도 생길 수 있다. 이런 상황이 장기화될 수도 있다. 하지만 착한 식당 사장님들은 이를 위험 신호로 여기고 타 업종을 알아본다거나 다른 음식을 개발하는 등 한눈팔지 않는다. 전과 다름없이 음식을 내놓는 데 집중한다. 언젠가는 이 맛을 그리워하는 손님들이 다시 올 것이고 혼자가 아니라 늘어난 가족이나 좋은 사람들과 오게 될 것이라는 믿음 때문일 것이다.

전국 방방곡곡의 먹거리, 즐길거리, 볼거리, 그리고 놀거리 등을 엄선하고 검증해 판매하는 필자의 회사도 최근 착한 식당 사장님의 고집을 통해 비즈니스 성공 해법을 모색해가고 있다.

바로 소셜커머스 본래의 성격을 지키는 것이다. 잘 알려져 있는 것처럼 소셜커머스는 필자가 몸담고 있는 그루폰의 창업자가 회사 1층에 입주해 있던 식당의 '피자반값'쿠폰을 판매한 데서 시작했다. 지역 중소상인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새로운 윈-윈 모델을 만들어낸 것이다.

그런데 요즘 국내 소셜커머스가 기존의 오픈마켓과 다른 점이 뭐냐는 비판을 종종 듣곤 한다. 물론 한국만의 차별화된 모습이기도 하지만 지역의 중소 상공인들의 설 곳이 줄어든 것도 사실이다. 이를 대신해 그루폰은 지역 소상공인을 비롯해 상권을 살리기 위한 노력을 계속하고 있고 각 지역의 서비스 상품을 제공하는 거래 규모를 항상 유지하려 하고 있다. 이를 통해 여러 분야에서 성공 모델을 만들어내기도 했다.

모든 기업은 사업을 시작했을 때 가지고 있던 제품이나 모델이 있기 마련이고 개인은 경력을 쌓아가면서 만든 커리어가 있다. 이를 남들과 비교하지 말고 개선ㆍ발전시킬 수 있도록 노력하고 지켜나가는 '착한 고집'을 우리 모두가 배워나가기를 기대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