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분란의 싹' 북극해 영유권 조정 나서

美·덴마크등 5개국 회담


자원의 보고로 알려진 북극해의 영유권을 조정하기 위한 관련국 회의가 열린다. AFP통신은 북극해를 접한 미국ㆍ러시아ㆍ캐나다ㆍ덴마크ㆍ노르웨이 등 5개국이 28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덴마크령 그린란드자치주의 일룰리사트에서 회담을 열어 이들 국가간에 빚어지고 있는 북극 영유권 문제의 조정에 나선다고 보도했다. 북극해 인근엔 전세계 원유 및 가스의 25%가량이 매장돼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최근 지구 온난화로 북극해를 덮고 있던 빙하가 녹고 있고,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자원 접근성이 크게 높아짐에 따라 북극권 국가들이 서로 영유권을 주장하며 자원 확보 쟁탈전에 뛰어들고 있다. 덴마크와 캐나다는 한스섬의 영유권을 놓고 갈등하고 있다. 한스섬은 캐나다 엘즈미어섬과 덴마크 그린란드 사이 나레스 해협에 있는 면적 1.3㎢의 돌섬으로, 엄청난 양의 다이아몬드가 묻힌 것으로 유명하다. 캐나다와 미국은 대서양과 태평양을 연결하는 북서항로에 대한 권한을 놓고 신경전을 벌이고 있다. 국제법에 따르면 북극권 국가들은 각국 해안에서 200해리(약 370㎞)까지 영유권을 갖고 있으며, 대륙붕이 자국 영토와 이어졌음을 입증할 수 있다면 200해리 이상까지도 영유권을 주장할 수 있다. 하지만 북극해의 상당부분은 여전히 공해로 남을 수밖에 없어 분란의 싹이 되고 있다. 특히 지난해 러시아가 북극해 해저 4,000m 해상에 러시아 국기를 꽂으면서 북극을 둘러싼 국가들간의 영유권 갈등이 심화됐다. 각국은 이에 따라 대륙붕 탐사는 물론 자원 개발 작업에 혈안이 돼 있다. 덴마크는 서부연안을 개발하기 위해 엑손모빌과 셰브론 등을 끌어들였고, 러시아는 프랑스 석유 회사인 토탈과 손잡았다. 북극을 둘러싼 영유권 다툼의 발단은 빙하가 녹으면서 개발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과학자들은 오는 2050년 북극해를 가로지르는 북서항로의 통행이 1년 내내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일각에서는 북극권의 원유 생산 비용이 세계 평균의 2배 이상이나 돼 자원개발의 성과를 내기 어려워 환경만 파괴하는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