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한ㆍ일ㆍ중 정상 "회담 위한 회담 안한다"

이명박 대통령과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왼쪽),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오른쪽)는 29일 베트남 하노이 대우호텔에서 한일중 정상회담을 갖고 관계 진전을 위한 6자 회담을 하기로 합의했다. /하노이=왕태석기자 kingwang@hk.co.kr

한국과 일본, 중국 3국 정상들은 29일 북핵 6자회담과 관련, 회담을 위한 회담은 하지 않을 것이며 시간이 늦어지더라도 관계 진전을 할 수 있는 회담을 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4면 이명박 대통령과 간 나오토(菅直人) 일본 총리, 원자바오(溫家寶) 중국 총리는 이날 베트남 하노이에서 열린 ‘아세안(ASEAN:동남아국가연합)+3(한ㆍ일ㆍ중)' 정상회의를 계기로 마련된 한ㆍ일ㆍ중 정상회담에서 “회담을 위한 회담이 아니라 시간이 걸리더라도 진전된 결과를 도출할 수 있는 회담을 열자”라는 것에 대해 합의를 했다고 김희정 청와대 대변인이 전했다. 3국 정상은 또 한국의 제안에 따라 3국 협력 사무국을 2011년 서울에 설치하기 위해 노력하기로합의했다. 아울러 희토류 자원의 안정적 공급이 필요하다는 일본의 문제제기에 대해 중국은 “계속 국제사회에 희토류를 공급하겠다. 특히 소비대국과 함께 노력해서 희토류의 원천을 확대하고 새로운 대체 자원 개발 추진에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또 이 대통령은 이날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FT)와의 인터뷰에서 한국은행이 국제 단기투기자본 문제와 관련, 자본 유ㆍ출입 추가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는 데 대해 “이는 자본통제가 아니라 거시건전성 정책의 일환이며 개별국가의 대응까지 부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이런 모든 조치는 예외적 조치가 아니라 국제협력의 일부이며 G20(주요 20개국) 정책권고와도 부합한다”고 강조, 핫머니 등 국제자본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의중을 내비쳤다. 또한 이 대통령은 서울 G20 정상회의에서 무역불균형 개선을 위한 수치목표에 대한 논의는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글로벌 임밸런스(세계적 불균형) 문제는 경주에서 예시적 가이드라인을 합의하기로 했기 때문에 여기에 대한 진전을 만들기 위한 발판이 마련되지 않겠느냐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그러면서 “굳이 수치까지는 논의 하지 않아도 된다고 보고, 발판을 만들기 위한 논의는 앞으로 정상 간에 논의가 좀 되지 않겠나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베트남 방문 이틀째인 이날 ‘아세안(ASEAN)+3’ 정상회의와 한-아세안(ASEAN) 정상회의, 한ㆍ일ㆍ중 정상회담을 통해 G20 서울 정상회의 성공을 위한 적극적인 협력방안을 논의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한ㆍ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양측 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키로 합의했다. 또 ‘한ㆍ메콩 외교장관회의’ 신설을 제안, 내년 상반기 한ㆍ메콩 고위관리 회의를 통해 구체적인 신설계획을 추진하기로 했다. 메콩강은 세계적인 미개발 자원보고의 하나로 ‘한ㆍ메콩 외교장관회의’가 성사될 경우 우리나라는 중국ㆍ일본 등과의 메콩강 개발권 확보 경쟁에서 유리한 고지를 선점하게 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