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노후준비박람회 '센덱스 2011'이 1일 일산 킨텍스에서 성대하게 개막했다. 진수희(오른쪽 네번째) 보건복지부장관, 곽승준(〃다섯번째) 미래기획위원회 위원장, 김영선(〃여섯번째) 한나라당 의원 등이 개막을 알리는 테이프를 끊고 있다. /일산=이호재기자 |
|
지난 1955~1963년 태어난 인구는 712만5,000명. 한국전쟁 이후 출산율이 급등할 때 태어나 베이비붐 세대로 불리기도 한다. 전체 인구의 14.6%에 달한다. 노후에 대한 별 준비 없이 이들이 은퇴를 할 경우 사회에 엄청난 부담으로 다가온다.
그래서 '센덱스 2011'에서 마련한 게 '스마트에이징 국제 심포지엄'. 지난해부터 시작된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에 따른 노후 패러다임이 어떻게 변화하고 대비는 어떻게 할지를 '건강ㆍ주거ㆍ금융ㆍ여가문화' 등 4개 분야에서 모색하자는 것이다.
◇고령화는 또 하나의 기회=진수희 보건복지부 장관은 "고령화는 위기라고 하지만 또 하나의 기회"라고 강조했다. 진 장관은 "고령자가 늘어나는 만큼 이들이 이용하는 제품과 서비스 시장도 점차 확대될 것"이라면서 "국가는 관련 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확보하고 기업은 이윤을 창출하면서 개인은 다양한 상품과 서비스를 통해 만족을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제임스 L 포자드 미국 사우스 폴로리다대 노년학과 교수도 "고령화는 새로운 기회를 가져다 준다"고 공감했다. 2009년 10.7%인 65세 이상의 고령인구 비중이 오는 2018년 14.3%, 2026년에는 20.8%로 늘어나지만 이를 역으로 이용해 관련 산업을 육성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승철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정보기술(IT) 역량과 의료기술을 접목해 육성할 수 있는 ▦재활ㆍ신체 보조기기 ▦줄기세포ㆍ세포치료제 ▦헬스가전 ▦의료관광 ▦디지털영상 진단기기 ▦산업형 전자 의료기기ㆍ소재 ▦휴대용 진료정보기기ㆍ진단기기 등을 제시했다.
여가산업은 노령인구의 취미활동 수요가 늘어나기 때문에 만들어지는 새로운 시니어 시장이다. 김규원 한국문화관광연구원 연구실장은 "2020년 여가 분야의 실버산업은 26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된다"면서 "다양한 시장세분화, 체험과 참여유도, 실버컬티즌 양성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령화 시대에 맞도록 금융ㆍ주택정책에는 변화 필요=베이비붐 세대 이후에도 1974년까지 연간 출생자수가 90만명을 넘어 베이비붐 세대를 시작으로 대량 은퇴현상이 20년가량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주목해 주택과 금융정책을 변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손경환 국토연구원 부원장은 "은퇴가 본격화되면 오랫동안 높은 주거비 부담에 시달릴 수밖에 없고 이는 주택 규모를 축소하거나 매각하는 등 주거의 '하향이동'이 불가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베이비붐 세대가 주거수준을 점진적으로 조정할 수 있도록 정부가 '생애주기 맞춤형 주택정책체계'를 마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그는 "자산이 없는 저소득 베이비붐 세대를 위한 정책이 절실하다"면서 "월세보조, 공공임대주택 입주 우선권 부여, 양로ㆍ요양시설 제공 등 다양한 정책을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소비지출 규모가 연금소득을 넘어서는 현재 구조를 바꾸기 위한 금융정책 주문도 이어졌다. 김병덕 한국금융연구원 선임연구원은 "호주의 슈퍼애뉴에이션, 미국의 401K 등은 은퇴 이후 소득보장의 핵심역할을 할 수 있지만 우리의 경우 부족한 것이 사실"이라면서 "공적연금 비중을 줄이고 사적연금 비중을 늘리는 연금제도의 개편, 주택연금이나 퇴직연금ㆍ개인연금 제도의 활성화 정책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