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혁신도시 5만명이하 녹색도시로

개발방향 발표… 공영 혁신학교·특목고 우선<br>盧대통령 "2008년까지 R&D 예산 40% 지방 배정"

지방으로 이전하는 175개 공공기관이 입주할 혁신도시는 인구 2만~5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중ㆍ저밀도의 녹색도시로 건설된다. 또 공영형 혁신학교와 특수목적고가 우선 배치되고 신교통수단이 도입되는 등 주민 편의를 위한 시설도 대폭 확충된다. 건설교통부와 국가균형발전위원회는 21일 오전 전북도청에서 관계부처 장관, 시도지사, 이전 기관장 등 26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혁신도시 건설 보고회’를 갖고 혁신도시 개발방향과 지역별 혁신도시 건설방안을 발표했다. 그러나 ‘5ㆍ31 지방선거’를 앞두고 장밋빛 청사진만 제시되는 등 자칫 혁신도시가 선거용 선심정책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각 혁신도시의 개발방향은 ▦강원-세계 속의 생명ㆍ건강산업의 수도 ▦충북-ITㆍBT산업의 테크노폴리스 ▦전북-전통과 첨단을 잇는 생물ㆍ생명산업의 메카 ▦광주ㆍ전남-하나로 빛나는 초광역 첨단미래산업 클러스터 ▦경북-첨단과학기술과 교통의 허브 ▦경남-한국을 움직이는 메카트로닉스의 거점이다. 또 제주는 국제자유도시를 선도하는 국제교류ㆍ교육연수도시이며 ▦부산-대륙과 해양이 만나는 해양수산ㆍ영화ㆍ금융의 중심 ▦대구-교육ㆍ학술산업의 메카, 동남권 산업클러스터의 중심 ▦울산-인간과 자연이 함께하는 친환경 첨단 에너지 메카 등이다. 정부는 올해 상반기 중 혁신도시 건설 기본구상을 마련하고 이를 토대로 하반기에 지구지정과 개발계획 수립 등 사업추진을 본격화할 예정이다. 한편 노무현 대통령은 이날 회의에 참석, “전체 연구개발(R&D) 예산 중 서울과 대덕을 제외한 나머지 지방의 배정 비율을 오는 2008년까지 40%까지로 꼭 올리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올해 R&D 예산이 9조3,000억원이며 2008년에는 더욱 늘어날 것”이라며 “이중 40%라면 적지않은 재원으로, 특히 지방대학이 지역 거점, 인재육성의 거점, 산업경쟁력을 키워나가는 거점이 되도록 키우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