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심층진단/기고] 이재웅 다음커뮤니케이션사장

이메일 환경개선 의지온라인 우표제가 1일부터 본격 시행된다. 다음은 이 제도를 시행하기 위해 지난 1년 동안 많은 인력과 시간을 투자했다. 또 본격 시행에 앞서 지난해 10월부터 충분한 시범 서비스 기간을 거치면서 제도의 대상이 되는 업체와의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합리적인 선에서 세부안을 확정했다. 이제는 네티즌들의 준엄한 심판만이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다음이 온라인 우표제를 시행하는 목적은 크게 두 가지다. 우선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불법 스팸과 대량 상업성 광고메일에 대한 사전 규제 장치를 마련해 회원들에게 양질의 e 메일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이유는 왜곡된 메일 커뮤니케이션의 비용 구조를 바로 잡겠다는 것이다. 전통적으로 오프라인의 광고 우편물은 보내는 쪽에서 비용이 들지만 전자우편은 받는 쪽에서 비용이 발생한다. 즉 수혜자인 발신자보다는 수신자와 인터넷 인프라를 제공하는 메일사업자측이 e 메일 발신에 대한 비용 부담을 지고 있는 상황이다. 현재 일부 e 메일 마케팅 업체에서 반발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의지가 전혀 없어 보인다. 단지 과금 부분이 부담스러워 논점을 흐리는 '변죽 울리기'만이 강하다는 생각이 든다. 지금 네티즌들의 스팸 피로는 극에 달해 있다. 스팸 때문에 본인의 메일박스에 들어가기가 싫어진다고 하는 사람이 속출하고 있다. 결국 이것은 e메일 마케팅 효과를 더욱 떨어뜨리기만 할 뿐이다. 지난해 3월 다음이 하루 받은 메일 통수는 1,300만통 수준이었다. 불과 1년새 4배 이상 늘어나 현재는 5,000만~6,000만통에 이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업체들은 e메일 마케팅 효과를 유지하려고 메일통수를 기하급수적으로 늘리고 있다. 그에 따른 네티즌들의 스팸 피로감은 더욱 증가하는 동시에 메일 개봉률은 떨어지는 악순환이 현재의 상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온라인 표제를 반대하는 측은 e메일 양은 증가해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악화되는 e 메일 환경을 개선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이면서 한편으로는 메일통수를 늘려야 한다는 이율 배반적인 모습이 네티즌들에게 어떻게 비쳐질지 의문이다. 누가 e메일 환경 개선에 대한 의지가 있고 또 네티즌은 누구의 손을 들어줄지는 온라인우표제가 실시된 이후 자명해질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