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인기 한풀 꺾인 하이일드채권펀드

지난달 자금유입 10분의 1로 급감… 스프레드 축소 탓

지난해 평균 17.0%의 높은 수익률을 기록하며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던 글로벌하이일드채권펀드의 인기가 한풀 꺾였다.

6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달 글로벌하이일드채권펀드에는 242억원이 유입되는 데 그쳤다. 지난해 8월 1,455억원, 9월 2,743억원, 10월 3,315억원 등 월평균 2,500억원 수준으로 유입되던 신규자금은 11월 925억원 수준으로 줄더니 12월에는 200억원대로 규모가 급감했다. 하이일드채권펀드는 투자적격등급(BBB) 이하 회사채 및 어음과 후순위채권 등에 투자하는 펀드로 높은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점이 장점이다. 투자적격등급 이하인 정크본드이지만, 미국의 정크본드 대부분은 한국 기준으로 우량 회사채에 해당한다는 점에서 지난해 저금리로 고민하던 투자자들이 하이일드채권펀드에 몰렸다.


개별 펀드별로는 AB글로벌고수익 (채권-재간접)종류형A에서 12월 208억원 자금 유출됐다. 8~11월 248억원, 1,141억원, 1,505억원, 353억원 등 4개월 연속 자금이 유입되다가 유출로 전환한 것이다. JP모간단기하이일드자(채권)A도 1월부터 11월까지 줄곧 소규모로 유입되다가 11월 107억원, 12월 183억원이 빠져나갔고, 프랭클린템플턴미국하이일드자[채권-재간접]Class A에서도 11월 81억원, 12월 184억원이 유출됐다.

관련기사



최근 글로벌하이일드채권으로의 자금 유입이 둔화되는 것은 하이일드 채권 금리와 국채 금리의 차이인 스프레드가 이미 충분히 줄어들면서 투자 매력이 줄었기 때문이다. 하이일드채권펀드는 스프레드가 줄어들 때 채권 가격 상승분에 대한 차익을 얻는다. 그러나 이미 지난해 하이일드채권에 수요가 몰리면서 가격이 올랐고 이에 스프레드가 충분히 축소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 운용사 관계자는 "글로벌하이일드채권펀드가 지난해와 같은 성과를 내는 것은 사실상 어려울 것"이라며 "최근 스프레드가 줄어든 만큼 향후 기대수익에 대한 눈높이도 낮춰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주희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