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일본 "저가보급형 로봇 키워 성장률 높이자"

아베노믹스 세번째 화살 포함시켜

간병 등 4대 분야에 보조금 지급

일본 정부가 아베노믹스의 세 번째 화살인 성장전략의 일환으로 저가보급형 로봇 전략을 추진한다.

16일 요미우리신문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간호·간병(개호) △농업 △인프라 점검 및 재해 지원 △공장 노동 등을 중점 4대 분야로 지정해 로봇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로봇 산업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공개했다.


구체적으로는 간병인이 환자를 안고 옮기는 등의 작업을 도울 수 있는 '입는 로봇'의 가격을 낮추고 고령 농민들의 일손을 덜어주는 무인 트랙터, 농산물 운반 로봇 등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 밖에 사람이 접근하기 힘든 교량과 터널의 균열을 카메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소형 무인헬기 등도 개발 대상으로 꼽았다.

관련기사



로봇 대중화는 일본의 일손 부족과 고령화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 추산에 따르면 오는 2025년에는 간병 수요 증가 등으로 일본 내 간병 인력이 100만명 부족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일본의 65세 이상 농업인구 비율은 60%가 넘는 수준으로 고령 농민들의 일손이 부족하다.

일본 정부는 오는 6월 말 확정되는 아베 신조 일본 총리의 경제정책인 아베노믹스의 '세 번째 화살'이라고 불리는 성장전략에 이 같은 로봇 대중화 사업을 포함시킬 것으로 알려졌다. 아베 정부는 올해 안에 전문가로 구성된 '로봇혁명실현회의'를 구성하고 로봇 안전 규격 개정 및 규제완화를 골자로 한 '5개년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아베 총리는 지난 5월 파리에서 열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각료이사회 기조연설에서 "로봇에 의한 새로운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있다"며 "산업현장에서 로봇을 활용하는 선도국이 될 것"이라고 밝히기도 했다. 일본의 로봇 국내시장 규모도 2012년 약 7,000억엔 수준에서 2020년에는 3배 이상인 약 2조4,000억엔(24조원)으로 확대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20년에는 도쿄올림픽에 맞춰 '로봇 올림픽'도 열 계획이다.

특히 중국이 사상 처음으로 일본을 제치고 최대 로봇 구매국이 되면서 로봇 강국인 일본의 입지가 공격 받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는 모습이다. 지난해 전 세계 산업용 로봇 5대 가운데 1대는 중국에서 사들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중국의 로봇 구매량은 2008~2013년에 매년 평균 36%씩 증가해 성장 잠재력도 큰 상황이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