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삼성화재, “불법 유턴은 교통사고 사망 지름길”

닷새에 한 명 꼴로 유턴을 시도하다가 교통사고로 사망한다는 통계 결과가 나왔다.

삼성화재 부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는 6일 ‘유턴 중 교통사고 특성’ 분석결과를 발표하고 유턴 시도 중 교통사고 발생 위험성이 높다고 밝혔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에 따르면 유턴 시도 중 교통사고는 5년간(2008년~2012년) 총 4만1,326건이 발생했다. 5일에 1명 꼴로 사망하고, 35명이 부상당한 셈이다. 유턴 시도 중 사망사고는 △측면충돌(66.3%) △보행자충돌(11.4%) △정면충돌(6.3%) △추돌(5.2%)의 순으로 집계됐다.

관련기사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관계자는 “측면충돌 사고에 의한 사망자를 분석하면 반대 방향 직진차량 외에도 같은 방향으로 직진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사망사고가 10건 중 4건으로 확인됐다”면서 “이는 2차선 이상 차선에서 유턴을 시작할 경우 후방에서 접근하는 차량을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사고위험이 높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턴 시도 중 교통사고를 피해자별로 살펴보면 피해자가 되는 경우가 발생건수 기준으로 20.1% 를 차지했다. 이는 반대 차선의 신호위반 차량이나 우회전 차량과의 충돌 때문으로 신호변경 직후 즉시 출발 전에 좌.우회전 차량 및 보행자 확인 등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고병곤 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책임연구원은 “유턴 시에는 빠르게 180도를 회전하기 때문에 운행 중에는 주위상황을 확인하거나 돌발상황에 반응하기가 어려워서 충분한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상습 불법 주정차 구간에는 유턴을 금지시키고 특히 불법유턴이 잦은 위험지역에는 ’중앙분리봉(탄력봉)‘을 설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