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단원 김홍도ㆍ혜원 신윤복 등 조선의 문화 황금기였던 진경시대 왕실 화가들이 남긴 걸작들이 한 자리에 모인다. 서울 성북동 간송미술관이 가을 정기 시즌을 맞아 '진경(眞景)시대 화원전'을 선보이는 것. 일년에 봄과 가을 단 2주씩 대중에게 미술관을 공개하는 간송은 오는 13~27일 진경시대 화원 21명이 남긴 작품 가운데 각 시기의 특징을 잘 드러내는 80여점을 선별해 소개한다.
'진경시대'는 조선 숙종대(재위 1675~1720)부터 정조대(재위 1776~1800)까지 125년의 기간을 말한다. 조선왕조 후기문화가 고유 색을 한껏 드러내며 중국과는 차별화된 우리만의 문화 예술을 화려하게 꽃피웠던 문화의 르네상스 시기로 꼽힌다. 진경시대 가장 큰 특징은 조선 고유의 독창적인 미감과 화법으로 중국풍을 극복하고 조선의 자연과 풍토, 정서에 맞는 사실주의 회화를 구축했다는 것. 관념산수가 아니라 실경산수, 더 나아가 실경산수를 넘어서서 조선 산천에 내재된 정신까지 담은 진경산수가 탄생했다. 화폭 속 인물들이 비로소 중국풍 의복이 아니라 갓을 쓰고 도포를 입은 조선 사람 차림으로 그려졌다.
최완수 한국민족미술연구소 소장은 "조선초기를 지배했던 주자성리학의 자리를 퇴계 이황과 율곡 이이가 심화 발전시킨 조선성리학이 대신하면서 고유이념이 생겼다는 자긍심은 회화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며 "조선 고유의 자연과 정신을 드러내며 진경산수화와 풍속화의 토대가 마련됐고, 화법 면에선 중국 준법이 아니라 조선의 준법이 나왔다"고 소개했다.
진경시대는 숱한 화가들이 있지만 겸재 정선(1676~1759)과 풍속화의 시조라 불리는 관아재 조영석(1686~1763)을 거쳐 단원 김홍도(1745~1806?)와 혜원 신윤복(1758~?) 등이 대표적이다. 26점이 선보이는 단원의 작품 가운데 '금강산 명경대'는 집중과 생략을 자유롭게 구사하던 겸재의 금강산 그림과는 달리 직업 화가답게 기술적인 디테일이 돋보인다. 정조와 독대할 정도로 잘 나가던 단원은 권력에서 밀려난 뒤의 심경을 '월하취생(月下吹笙)'이라는 작품에 담아냈다. 혜원은 영·정조 어진을 그린 신한평(1735∼1809)의 장남으로 부자가 함께 화원으로 활동했다. 하지만 혜원은 아버지의 그늘에서 벗어나고자 풍속화로 눈길을 돌렸다. 단오날의 풍경을 그린 '단오풍정(端午風情)', 달밤 아래의 연인을 그린 '월야밀회(月夜密會)' 등 잘 알려진 15점이 전시된다. 진경시대 황금기를 수놓았던 단원과 혜원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나볼 수 있는 뜻 깊은 기회다. 이밖에 겸재를 흠모한 나머지 이름까지 '겸'자를 붙인 불아재 김희겸(1710∼?), 현재 심사정(1707∼1769)의 화풍을 모방한 호생관 최북(1712∼1786), 자신만의 화풍을 이룩한 긍재 김득신(1754∼1822) 등의 작품도 만날 수 있다. 한편 비영리 공익법인이자 학술연구재단인 간송미술문화재단(이사장 전성우)이 최근 출범했다. 재단은 기존 미술관을 유지하면서 근처에 새로운 미술관을 신축해 더 나은 환경에서 소장품을 감상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또 내년 3월 개관하는 동대문디자인플라자 디자인박물관에서 미술관 소장품으로 기획전을 열 예정이다. 현재 간송미술관이 소장한 작품은 1만여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관람료 무료. (02) 762~04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