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아파트 다시 뜨고 토지는 인기 시들

8·31대책후 두달…경매시장 희비교차

8.31 대책이 발표된 지 두 달이 지나면서 그 동안 약세를 면치 못했던 아파트 경매가 강남권을 중심으로 서서히 회복세로 돌아섰다. 반면 대책 이후 강세를 보여온 토지시장은 크게 움추러 들고 있다. 16일 부동산경매정보업체 지지옥션에 따르면 이 달 들어 강남권 아파트를 중심으로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최근의 하락세를 딛고 상승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강남권 아파트 낙찰가율은 9월 92.98%에서 지난달 78.79%까지 추락했지만 이 달 들어 89%로 반등했다. 서울 전체 아파트 경매도 8~10월 82~83%대의 경매 낙찰가율을 기록했지만 이 달 들어 낙찰가율이 86.80%로 높아졌다. 수도권 전체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은 지난달 81.39%에서 이 달 84%로, 전국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도 지난달 77.94%에서 79.90%로 각각 상승했다. 아파트 경매 낙찰가율이 강남권을 중심으로 크게 뛴 것으로 나타나 강남 재건축시장을 중심으로 시작된 회복세가 경매 시장에도 반영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정부의 8ㆍ31 대책이 발표된 직후 직격탄을 맞았던 강남 재건축 아파트가 최근 일부 지역에서 급매물이 소화되며 가격이 다시 상승하기 시작했다. 거래는 이뤄지지 않고 가격이 오른 매물이 나온 호가 위주의 가격 상승이었지만 10월 말 가격 하락이 멈춘 이후 계속해서 상승세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 주 서울 재건축 아파트는 평균 0.48% 오르며 10월 말 이후 최고 가격 상승률을 기록했다. 특히 송파구(1.48%), 강남구(0.12%), 서초구(0.18%), 강동구(0.77%)의 강남권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경매시장에서 인기를 끈 아파트를 보면 서초동 우성아파트 34평형이 감정가 5억5,000만원에 나와 5억8,950만원에 낙찰돼 107%의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3억3,000만원에 경매에 나온 강남구 개포주공 11평형도 최근 3억4,829만원에 낙찰돼 106%의 높은 낙찰가율을 기록했다. 반면 8.31 대책 이후 일반 토지 시장이 직격탄을 맞은 것과 달리 한때 낙찰가율100%를 돌파하며 과열양상을 보였던 토지시장은 이 달 들어 낙찰가율이 크게 하락해 대조를 보였다. 전국 토지 경매 낙찰가율은 9월 99.16%에서 지난달 125.91%로 급등했지만 이 달 들어서는 87.20%로 곤두박질 쳤다. 수도권 토지 경매 낙찰가율도 9월 104.37%로 높은 인기를 끌었지만 지난달 87.85%로 뚝 떨어진 이후 이 달에는 81%까지 내려가 80%선도 위험한 수준이다.

관련기사



김광수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