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공공 부동산, 이래서 팔리겠나

공공기관 매각에 대한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다. 최근 폭우 속에 열린 이전대상 공공기관 부동산 매각 로드쇼에 600명 넘는 투자자들이 몰렸다. 주최 측도 놀랄 정도였다. 연기금ㆍ자산운용사ㆍ시행사 등 기관투자가들뿐만 아니라 사옥 매입에 관심이 있는 대기업 관계자들도 자리를 함께 했다. 재력이 있어 보이는 일반인 큰손도 듬성듬성 눈에 띄었다. 투자설명회는 국토해양부는 오는 2012년부터 시작될 공공기관 지방 이전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본격적인 부동산 매각을 앞두고 흥행몰이를 위해 마련된 자리였다. 100억~200억원 규모의 일반 주거지나 서울 강남 소규모 건물부터 수천억원대의 공사 본사나 연수원까지 여러 종류의 알짜 물건이 하반기부터 쏟아질 예정이다. 약 20건의 투자 유망부동산에 대한 설명 이후, 투자자들의 질문은 꼬리를 물었다. "기관투자가 입장서는 보통 1년, 짧게는 분기 단위로 투자 계획을 짜는데 입찰 공고 기간이 2주일에 불과하다. 그 안에 경제ㆍ법률적 분석을 마치고 내부 투자승인 절차를 밟는 것은 불가능하다. 입찰기간을 늘려줄 수 없나?" "외국인 투자자의 경우에도 입찰에 차별 없이 응찰할 수 있는가?" 투자자들의 가장 큰 불만성 질문은 명도시기에 대한 것이었다. "건물 명도시기가 확정되지 않은 것은 투자자 입장에서는 너무나 큰 리스크" 라는 게 투자자들의 지적이었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같은 투자자들의 날카롭고 구체적인 질문에 국토부 담당자의 대답은 큰 틀의 원칙을 알려주는 수준이었다. 일례로 명의 이전시기까지 명도가 안되면 임대료를 내겠다는 것. 그러나 투자자에게 임대료보다 중요한 것은 불확실성을 제거해주는 일이다. 현재까지 일반에 매각된 공공기관 부동산은 고작 7개 부지 1,678억원어치다. 올해 상반기까지 공개입찰에 부쳤던 알짜 부지들도 줄줄이 유찰됐다. 물론 침체된 부동산 경기가 가장 큰 원인이다. 하반기에는 84개 부지 6조8,000억원치의 부동산이 줄줄이 시장이 나올 참이다. 국민의 재산을 최대한 비싼 값에 팔기 위해서는 투자자를 위한 세심한 배려가 필요하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