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국정감사 1주일 앞으로, 국감 증인채택 싸고 신경전

민주, 게이트관련 50~60명 요구…한나라 난색

여야가 국회 국정감사를 1주일 앞둔 28일 국감 증인채택 문제를 놓고 막판 신경전을 벌였다. 여야는 특히 지금껏 제기된 각종 의혹의 키를 쥐고 있는 거물급 인사들에 대한 증인채택을 둘러싸고 줄다리기를 했다. 이들이 증인으로 나와 예상치 못한 메가톤급 증언을 내놓을 경우 국감 전체의 흐름을 좌우할 변수가 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우선 가장 치열한 전투가 예상되는 곳은 법제사법위원회로 정권 초기 터진 각종 '게이트'로 곳곳이 지뢰밭이다. 민주당은 이른바 '언니 게이트'와 '사위 게이트' '서울시의회 비리 게이트' '군납 게이트'와 관련, 50∼60명 이상의 증인ㆍ참고인 채택을 요구하고 있으나 한나라당은 난색을 표명하고 있어 극심한 힘겨루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민주당은 이명박 대통령 부인 김윤옥 여사의 사촌 언니인 김옥희씨를 비롯해 이 대통령 사위인 조현범 한국타이어 부사장 등 대통령의 친인척을 증인석에 앉히려 하고 있다. 또 김귀환 서울시의회 의장, 유한열 한나라당 전 고문과 공성진 의원, 맹형규 청와대 정무수석 등을 불러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기획재정위도 어려운 경제 상황과 낙하산 인사 의혹 등이 맞물리면서 만만치 않은 기싸움이 벌어지고 있다. 특히 한나라당은 외환은행 헐값 매각 의혹과 관련해 한덕수 전 총리와 권오규 전경제부총리를, 민주당은 낙하산 인사 의혹 등과 관련해 류우익ㆍ정정길 전ㆍ현직 청와대 대통령실장 등을 불러야 한다며 맞서고 있다. 외교통상통일위원회는 김만복 전 국가정보원장을 증인으로 채택, 남북정상회담 대가성 여부와 서해상에서 구조된 북한 주민 22명의 송환사건 등에 대해 따질 예정이다. 다만 최근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와병설 이후 북한 상황에 대해 듣기 위해 참고인으로 채택했던 황장엽 전 북한 노동당 비서는 신병을 이유로 채택을 취소했다. 국토해양위원회는 논란 끝에 노무현 전 대통령의 후견인으로 토지 차명매입 의혹을 받고 있는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과, 인천공항공사 민영화 계획과 관련해 이상득 의원의 아들 지형씨에 대한 증인 채택은 일단 유보했다. 증인 채택을 하지 못한 상임위들은 금주 전체회의를 열고 증인 및 참고인 채택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