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STX그룹에 대출한 은행 어디어디?

금감원 통화내역 등 조사<br>사전 보고받은 정황 없어<br>관리감독 책임은 물을듯

금융감독원이 어윤대 KB금융지주 회장이 주주총회 분석기관인 ISS(Institutional Shareholder Service)가 사외이사 선임 반대 의견을 내게 하라고 임원에게 지시했다는 근거를 찾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금감원은 어 회장이 ING생명 인수를 반대한 일부 사외이사의 연임을 막기 위해 일을 벌였다는 심증을 갖고 검사를 집중했지만 별다른 결과를 얻지 못했다.

금감원의 한 핵심 관계자는 6일 "박동창 부사장과 어 회장을 조사한 결과 어 회장이 사전에 보고받지는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며 "ISS와 관련해 어 회장이 직접 지시했다는 근거를 찾지 못했다"고 했다.

금감원은 올 2월22일부터 3월29일까지 KB금융지주와 국민은행을 정기 검사했다. 이 와중에 ISS 사태가 벌어지자 당초 예정보다 일주일을 연장해 ISS 사건을 추가로 들여다봤다. 금감원은 박 부사장과 어 회장의 연관성을 찾기 위해 KB금융지주 내 폐쇄회로TV(CCTV)를 뒤지고 휴대폰 전화 내역까지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일부 임원의 차량 운행 일지와 어 회장의 개인업무 일지까지 살펴본 것으로 전해졌다. 그만큼 깐깐하게 따져본 셈이다.

관련기사



KB금융지주는 ISS가 사외이사 선임에 반대 의견을 내면서 파문이 확산되자 3월18일 임시이사회를 열고 "왜곡된 정보를 전달했다"는 이유로 박 부사장을 보직 해임했다. 이 과정에서 어 회장의 지시 여부가 논란이 됐었다.

다만 금감원은 최고경영진에 관리감독 책임은 물을 것으로 보인다.

금감원 관계자는 "직접 지시는 하지 않았어도 관리감독을 잘못한 문제는 있는 것 아니냐"고 했다. 최고경영진으로서 최소한의 책임은 져야 한다는 얘기다. 이와 관련해 금감원은 검사 후 어 회장과 임영록 사장에게 확인서를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어 회장과 달리 유력한 차기 회장 후보로 거론되는 임 사장은 "박 부사장은 회장에게 직접 보고를 했던 사람으로 나는 몰랐던 일"이라며 확인서 제출을 거부한 것으로 파악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최종적인 제재 수위는 결과를 종합해봐야 알 것"이라면서도 "최고경영진 사이에서도 확인서 제출에 대한 입장이 달라 좀 더 두고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김영필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