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저축銀 부실PF 사업장 구제 리스트 작성, 1~2곳이라도 우선 정상화"


장영철 한국자산관리공사(KAMCO)사장은 “저축은행 부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채권 중 구제할 수 있는 사업장의 숏 리스트(예비 후보)를 만들었다”고 밝혔다. 장 사장은 3일(현지시간) 아시아개발은행(ADB)총회가 열리는 베트남 하노이에서 기자들과 만나 “전체 부실 PF사업장을 한꺼번에 정리 할 수 없어 1차 정리 블록을 만들어 살릴 수 있는 사업장의 범위를 좁혀가고 있다”면서 “정상화가 가능한 사업장을 가려내 1~2곳이라도 빨리 정상화시킬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장 사장은 “지난 2월 부실 PF 정상화 추진단을 발족했다”며 “각각의 사업장에 적합한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캠코는 지난 2008년 이후 시중은행을 포함해 약 8조원 규모의 PF 부실채권을 환매 또는 사후정산 조건으로 사들였다. 이 가운데 저축은행으로부터 인수한 부실채권 규모는 약 6조2,000억원으로 올 연말에 3,000억원, 내년 3월에 1조2,000억원어치의 채권이 만기도래한다. 한꺼번에 큰 규모의 만기가 돌아올 경우 PF대출 부실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저축은행의 사정이 더욱 악화될 수 있다는 얘기다. 장 사장은 “인수 당시 3년 기한을 주고 부실채권을 사후정산하는 조건으로 사들였다”며 “그동안 상황이 좋지 않아 저축은행들의 고민이 많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장 사장은 이어 “올 연말 만기가 되는 것은 큰 문제가 없는데, 내년 3월 만기는 규모가 좀 커서 걱정”이라며 “최종 판단은 금융당국의 몫이지만, 일단 만기가 돌아오는 부분에 대해서는 (저축은행에) 환매한다는 게 캠코의 기본 입장”이라고 말했다. 한국은행은 최근 발간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2008년 이후 자산관리공사가 떠안은 PF 대출채권이 환매 또는 사후정산될 경우 저축은행 경영에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대해 장 사장은 “캠코가 그동안 부실 PF 사업장을 관리 측면에서만 봤는데 최근 ‘정상화’쪽으로 시각을 바꿨다”며 “정상화하려는 마음으로 보면 진흙속의 진주를 찾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한편, 캠코의 서민금융 지원과 관련해 장 사장은 “현재 개인채무 불이행자가 전체 경제활동인구의 10%에 육박하는 245만명에 달한다”며 “이들이 바꿔드림론(구 전환대출)을 신청하면 다수의 채권자가 캠코 하나로 바뀌어 편리해진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특히 바꿔드림론 신청자의 대부분이 연 40% 이상의 대출금리를 내고 있지만 바꿔드림론을 신청하면 10%대로 금리가 내려간다”며 “캠코가 우리 경제의 순환을 원활케 하는 신장의 역할을 하고 있다”고 덧붙였다./하노이=김능현 기자 nhkimchn@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