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여성 경제활동참가율 50% 돌파

대학진학률 첫 80%대, 외시합격률 53%<br>출산율은 세계 최저수준으로 급락

여성의 사회 진출이 눈부시게 늘고 있다. 그러나 남녀간 임금격차 등 불평등 요인이 제대로 해소되지 않고 자녀양육 등여성의 사회진출에 걸림돌도 많은 상황이다. 여성의 사회 참여 욕구는 높아지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체계는 미비해 출산율 저하 등 사회적인 부작용도 낳고있다. 통계청이 2일 여성 관련 각종 통계를 모아 발표한 '통계로 보는 여성의 삶'은 이런 현상을 반영하고 있다. ◇여성 경제활동 참가율 사상 첫 50%대 돌파 여성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004년 49.8%에서 지난해 50.1%로 상승, 처음으로 50%대를 돌파했다. 단순히 인원만 늘어난게 아니다. 지난해 외무고시 합격자중 여성의 비율은 52.6%로 남성을 따돌렸고 행정고시에서는 44.0%, 사법시험에서는 32.3%를 각각 차지했다. 올해 지방선거를 통해 지방의회에 진출한 여성은 525명으로 전체 지방의회 의원중 14.5%를 차지했으며 이는 2002년 3.4%에 비해 괄목할 만한 성과다. 이미 국회의원중 여성의 비율은 13.0%를 차지하고 있다. 아울러 주요 전문직중 여성의 비율은 지난해 의사 19.2%, 치과의사 22.2%, 한의사 12.4%, 약사 63.8% 등을 기록하면서 계속 상승세를 보였다. 교수 등 대학 교원중 여성의 비율도 2004년 17.2%에서 지난해 18.1%로 높아졌다. 과거부터 여성 진출이 활발했던 초등학교 교사중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지난해 71.0%로 계속 확대되고 있고 여성 교장의 비율도 8.7%를 기록했다. 여성 취업자중 전문.관리직 종사자는 2004년 16.9%에서 17.5%로 상승했다. 가계를 책임지는 여성 가구주도 계속 늘어 올해는 314만5천명으로 19.7%를 차지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여성 대학 진학률 첫 80%대 진입 여성의 대학(전문대 포함) 진학률은 2004년 79.7%에서 지난해 80.8%로 상승했다. 남성의 경우 2003년부터 80%대를 넘었지만 여성의 대학 진학률이 80%대를 기록하기는 이번이 처음으로 남성(83.3%)과의 격차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특히 지난해 석사 학위 취득자중 여성의 비율은 43.0%, 박사 학위 취득자중에서는 26.0%를 각각 기록하면서 상승세가 이어졌다. 여성의 사회 참여가 갈수록 더욱 늘어날 것임을 예고하는 대목이다. ◇여성 임금 남성의 62.6% 수준 여성의 지위가 눈부시게 신장되고 있지만 아직 줄여야할 격차는 크다. 지난해 여성 취업자중 상용직 임금 근로자는 25.6%에 그쳤고 임시직과 일용직은41.5%에 달했다. 남성의 경우 상용직이 41.1%, 임시직과 일용직은 24.9%였다. 근로자 10인이상 기업체에서 여성의 임금은 남성의 62.6%에 그쳤다. 통계청의 2002년 사회통계조사에서 사회생활에서 성차별이 있다고 답한 여성 비율은 69.7%에 달했다. ◇출산율 급락 여성 1명이 15∼49세의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추산되는 합계출산율은 지난해1.08명으로 2004년의 1.16명에 비해 0.08명이 줄었다. 이는 전세계 평균인 2.6명과 선진국 평균인 1.57명에 크게 못 미치고 세계에서출산율이 가장 낮은 홍콩(0.95명)을 육박하는 수준이다. 여성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결혼 시기 자체가 늦어지고 육아 등 부담도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여성의 초혼연령은 지난해 27.7세로 1990년보다 2.9세가 늦어졌다. 지난해 고용보험에서 육아휴직 급여를 받은 여성은 1만496명, 남성은 208명이었다. 범죄자중 여성의 비율도 2004년 16.4%를 기록하면서 최근 10년간 2.9%포인트가높아졌다. 교통사고중 여성 운전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1994년 4.8%에서 2004년 15.1%로 상승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