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난곡지역에 GRT 운행

자기장 이용 ‘버스+전철’ 굴절버스 2008년 도입<br>신대방역~난향初 3.11㎞ 8분대로단축



오는 2008년께 서울의 대표적 상습 교통정체 구간인 관악구 신림동 난곡 지역에 버스와 전철이 결합한 신교통수단이 도입된다. 서울시는 12일 “오는 2008년 하반기까지 지하철 2호선 신대방역에서 난향초등학교에 이르는 3.11㎞ 구간에 GRT(Guided Rapid Transitㆍ유도고속차량) 도입을 위한 건설 기본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시에 따르면 새롭게 도입되는 GRT는 대형 굴절버스 차량이 자기장 등을 이용한 운행 유도장치를 부착, 이 구간 전용 중앙차로를 운행하며 신속하게 목적지에 도착하는 신개념 교통수단이다. 특히 중앙통제시스템을 통해 운전기사가 탑승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차량 운행이 가능, 신속성과 함께 인건비 절감 등의 경제성까지 갖췄다는 게 시의 설명이다. GRT 탑승역이 설치되는 곳은 신대방역, 난곡사거리 남측, 문성골길 사거리 남측, 난곡주유소 인근, 우림시장 앞, 난향초등학교 앞 등 총 6곳으로 모두 도로 중앙차선 내에 들어서게 된다. 시는 GRT를 출근시간대에 4∼5분 간격으로 운행시켜 현재 20∼30분이 소요되는 난향초교∼신대방역 구간 이동시간을 8분대로 대폭 단축시킬 계획이다. 이를 위해 현재 왕복 2∼4차로인 난곡로를 왕복 6차로(폭 26m)로 확장하고 그 가운데 중앙의 양쪽 방향 각 1개 차로씩을 일반차로와 구분해 GRT 전용 주행도로로 활용하게 된다. 정연찬 시 교통계획과장은 “총 5대의 GRT를 도입해 이 구간 하루 평균 3만8,000여명의 통행수요를 흡수할 계획”이라며 “내년 6월까지 설계를 완료하고 하반기 중 착공에 들어가 2008년 하반기께 개통을 시키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