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IASB 신종자본증권 자본으로 잠정 ‘결론’

자본이냐 부채냐를 두고 논란에 휩싸였던 신종자본증권(영구채)가 사실상 자본으로 결론 났다. 이에 따라 국내 기업들의 회계 부담이 크게 줄어들면서 신종자본증권 발행이 이어질 전망이다.


15일 회계기준원에 따르면 국제회계기준위원회(IASB)가 14일과 15일 양일간 해석위원회를 열고 논의한 결과 신종자본증권을 자본으로 잠정 결정했다. 지난 해 10월 두산인프라코어 발행으로 신종자본증권이 자본이냐 부채냐 논란이 발생한 지 7개월 만이다.

관련기사



회계기준원 측 관계자는 “IASB 해석위원회가 신종자본증권을 자본으로 해석하기로 의견수렴이 이뤄진 점이 파악됐다”며 “IASB는 60일간 각국 의견수렴 과정을 거쳐 오는 7월 열릴 해석위원회에서 신종자본증권에 대한 최종 해석을 내릴 것으로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실상 이미 IASB가 신종자본증권을 자본으로 해석한 셈”이라며 “다만 의견수렴 과정에서 다른 이견이 제시될지 여부가 변수”라고 덧붙였다. 신종자본증권은 특정 시점 이후에 조기 상환하거나 만기를 계속 연장할 수 있는 채권. 자본과 부채의 특성을 동시에 가지고 있어 지난 해 두산인프라코어 발행 이후 해석 여부를 두고 국내 금융투자업계 내 의견이 엇갈린 바 있다.

신종자본증권을 둘러싼 논란이 커지자 회계기준원은 지난 해 한국국제회계기준(K-IFRS) 질의회신연석회의를 열고 논의했으나 끝내 합의점 도출에는 실패했다. 이에 회계기준원은 신종 자본증권을 자본으로 볼지 부채로 여길지 여부에 대한 공식 질의서를 IASB해석위원회에 보낸 바 있다.


안현덕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