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대전산단 도시재생사업 백지화 위기

법적 이행 기간 내년 9월까지인데

민자유치 어려워 재원확보 어려움

수년 동안의 민자유치 노력에도 불구하고 사업자를 모색하지 못한 대전산업단지 도시재생사업이 내년 9월로 기한이 임박하면서 비상이 걸렸다.


16일 대전시에 따르면 대덕구 대화·읍내동 일원 230만6,000㎡를 대상으로 추진하고 있는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이 민자유치 실패로 한 걸음도 나아가지 못한 채 사업부지내 공장 및 토지소유주들을 혼란스럽게 하고 있다. 특히 재생시행계획승인 신청이행기한이 내년 9월로 임박하면서 새로운 사업추진 방향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 놓여 있지만, 사업재원확보 문제나 개발규제에 따른 투자위축 등 어느 것 하나 속시원하게 해결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는 것이다.

관련기사



만약 내년 9월까지 뾰족한 대책을 마련하지 못하고 재생시행계획승인 신청을 해야 하는 법적 이행 기한을 넘기게 되면 지구지정 자체가 취소돼 원점으로 되돌아 갈 수 있다.

대전산업단지 재생사업은 2009년 9월 정부의 노후산단 재생 4개 시범지구로 공모선정돼 부산, 대구, 전주 등 다른 시범지구와 마찬가지로 가시적 효과가 빠르게 나타나는 전면수용방식으로 사업을 추진해왔으나 민자유치를 통한 재원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대전시는 재생시행계획 승인신청을 위해 새로운 방안을 강구하고 나섰다. 공장과 토지소유주에게 민자유치의 어려움을 설명하고 토지소유주의 자율적 개발을 추진하는 방안을 대안으로 제시하기로 한 것이다. 사업계획 방향을 조속히 정해 사업을 추진하겠다는 속내다. 이를 위해 대전시는 17일 대덕구 읍내동 대덕구 문예회관 대강당에서 주민설명회를 개최한다. 대전시는 공장과 토지소유주들의 동의가 있을 경우 사업추진 방향을 결정한 뒤 올해 확보예산 300억원을 사업지구내 4개 도로사업 보상을 위해 올해말부터 투입하고 내년에도 사업비 330억원을 투입해 사업을 본격 추진할 방침이다. 또 내년초에는 전담부서도 신설할 계획이다. 하지만 대전산업단지내 공장 및 토지소유주들이 이를 수용할지 미지수여서 사업진행 전망은 여전히 불투명한 상태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