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분양가 규제등 개선해야"

김경환 서강대 교수 '주택정책' 주제발표

참여정부의 주택정책이 목표달성에 실패한 것은 정책개입의 전제와 목표, 정책수단의 효과 등에 대한 인식에 문제가 있었기 때문이며 앞으로 분양가 규제나 원가 공개 등의 규제를 개선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왔다. 김경환 서강대 교수는 11일 한국경제학회가 은행회관에서 개최한 학술세미나에서 ‘외환위기 전후 주택시장 구조변화와 주택정책’이라는 주제 발표문을 통해 이렇게 주장했다. 김 교수는 참여정부 주택정책의 가장 중요한 본질은 정부가 시장의 실패를 시정해야 한다는 전제 아래 분양가 상한, 재건축 규제 등을 통해 민간 부문의 공급을 억제하고 토공ㆍ주공ㆍ지자체 등의 역할을 확대하는 접근 방식을 보였다고 설명했다. 그는 그러나 시장의 가격 추이를 보면 지난 2002년 이후 집값 상승의 핵심은 ‘국지적 수급 괴리에 따른 지역별ㆍ유형별 차별화’임에도 불구하고 정부는 투기수요 억제와 총량적 접근에 따른 공급만 치중하고 수요가 있는 곳에 공급을 늘리는 데는 소극적이었다고 비판했다. 정부는 그동안 저금리와 과잉 유동성이 집값 상승의 원인이고 국지적인 가격 상승은 투기 때문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었으며 강남3구 주택가격의 급상승 등 지역별 가격상승률 차별화 현상이 지역별 수요와 공급이라는 요인의 결과라는 점은 간과했다는 것이다. 김 교수는 95∼2004년 강남ㆍ서초ㆍ송파 등 강남3구의 아파트 순증가분은 2만3,757가구였으나 취업자 수 순증가분은 11만406명으로 수요에 크게 못 미쳤기 때문에 이들 지역의 전세ㆍ매매 가격 상승폭이 여타 지역보다 높았다고 분석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