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전국 1만 중소형 소각장 다이옥신 무대책

09/14(월) 16:03 전국 1만여개의 중.소형 쓰레기 소각장이 환경호르몬이나 발암성 물질인 다이옥신에 대한 대책 없이 노출돼 있다. 환경부는 대형 쓰레기소각장 9개소의 다이옥신 평균 배출농도는 1년전보다 줄었으나 전국 도시지역에 산재한 1만여개의 중소형 쓰레기소각장에 대해서는 다이옥신 측정사례도 없고 배출규제 대책도 세우지 못했다고 14일 밝혔다. 환경부에 따르면 하루 50t이상 쓰레기를 처리하는 대형 소각장 9개소에 대해 지난 2월부터 5월까지 다이옥신 배출농도를 측정한 결과 평균 0.92ng(1ng은 10억분의1g)/㎥으로 작년 6월 일제조사때의 4.78ng보다 크게 줄었다. 그러나 이 가운데 부천소각장은 아직도 다이옥신 배출농도가 4.54ng, 대구 성서소각장은 1.94ng, 고양소각장은 0.82ng으로 측정돼 기존시설의 권장기준치인 0.5ng을 최고 9배까지 초과하고 있다. 서울에만 400여개 설치돼 시간당 22t의 쓰레기를 태우는 중소형 소각장의 경우는 문제가 더 심각하다. 중소형 소각장은 대기환경보전법에 따른 배출시설에서도 제외돼 설치.운영.관리면에서 별다른 규제를 받지 않고 있어 사실상 다이옥신 배출에 무대책인 실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신설 대형 소각장에 대해서는 다이옥신 배출기준을 0.1ng, 기존시설은 0.5ng을 권장치로 각각 정했다"면서 "우선 대형소각장의 시설을 보완해 다이옥신 배출을 줄여가고 있으나 전국의 1만여 중소형 소각장에 대해서는 일산화탄소. 분진 등만 규제하고 다이옥신 측정은 물론 배출기준도 설정하지 못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학교와 주택가 등 인구밀집지역에 주로 설치돼 있는 중소형 소각로의 경우 대형시설보다 관리.운영이 훨씬 부실해 다이옥신 배출문제도 더 심각할 것으로 보고 있다. <<'남/자/의/향/기'(19일) 무/료/관/람 일간스포츠 텔콤 ☎700-9001(77번코너)>>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