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감초점] 정무위.. 현대 주가조작.코스닥 과열 추궁

특히 이날 국감은 6일 이헌재(李憲宰) 금융감독위원장이 『현대에 대한 근거없는 주장으로 계열사 주가가 출렁거렸지만 새로 불거질 것은 없다』며 주가조작 사건에 대한 추가 조사가 없을 것이라는 입장을 밝힌 직후여서 한나라당 의원들의 공격이 거셌다.그러나 이날 국감에 관심을 모았던 정몽헌(鄭夢憲) 현대전자 회장이 해외출장을 이유로 불참, 이계안(李啓安)전 현대그룹 경영전략팀장에게 의원들의 질의가 집중돼 맥빠진 분위기속에서 진행됐다. 먼저 자민련 이상만(李相晩) 의원은 『금감위는 현대중공업과 현대상선이 공모해 주가조작을 했다며 양사 대표이사였던 김형벽(金炯璧)·박세용(朴世勇) 사장을 검찰에 고발했으나 검찰은 현대증권의 이익치(李益治) 회장과 박철재(朴喆在) 상무가 공모해 주가를 조종했다고 보고 있다』며『한 사건에 대한 정부기관의 의견이 다른 이유가 무엇이냐』고 추궁했다. 국민회의 이석현(李錫玄) 의원은 『기업의 지배주주나 주인이 바뀔 수 있는 350만주 이상의 물량과 자금을 동원한 것은 구속된 이익치 회장 혼자서 할수업는 일』이라며 『이익치 회장은 鄭 회장 가족 입장에선 대단히 능력있는 사람이지만 국민의 입장에서 보면 불특정 다수의 이익을 빼앗아 가버리고 주식시장의 건전한 발전을 저해한 인물』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현대 주가조작 사건이 현대전자와 LG 반도체의 통합을 위해 주가를 높일 필요때문에 발생한 것이라는 의혹을 제기했다. 한나라당 김도언(金道彦) 김영선(金映宣) 의원 등은 『현대전자는 97년 12월말 기준으로 부채비율이 688%이고 98년에 지출해야 할 금융비용만 1조3,500억원에 달하는 등 부실기업이었다』며『이로인해 경쟁사인 LG 반도체와의 협상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없었기 때문에 유상증자를 통한 재무구조 개선이 절실, 대주주 물량의 원활한 매각을 위해 주가를 높게 유지할 필요가 있었던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김영선 의원은 『현대가 금강산 개발·관광과 관련한 어떤 조치가 있을때마다 계열사 주식을 대량 매매한 것으로 나타났다』며『현대는 재무구조가 취약한 계열사의 유상증자도 돕고 대북사업도 원활히 수행하기 위해 주가조작을 꾀한 것이 아니냐』고 따졌다. 여야 의원들은 또 코스닥 시장의 비정상적인 급등세를 한 목소리로 우려하며, 금감원의 감시·감독 소홀도 추궁했다. 특히 여야 의원들은 이날 이헌재위원장과, 증인으로 소환된 골드뱅크 김진호 (金鎭浩)사장을 상대로 98년 10월 등록당시 8,000원이던 주가가 올 5월 31만2,000원으로 40배 가까이 상승한 것은 허위사실 유포를 통한 주가조작 혐의가 짙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국민회의 김민석(金民錫) 의원은 『금년 3월과 4월 두차례에 걸쳐 말레이시아 역외펀드인 RASI에 당시 주가의 4분의 1인 1만7,000원에, 4월말 드렉슬러 펀드에 2만5,000원에 전환사채를 매각한 것은 국부의 해외유출이거나, 누군가에게 이익을 안겨주기위한 의도적인 발행이었다』고 주장했다. 양정록기자JRYANG@SED.CO.KR

관련기사



양정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